[新 정보화 격차에 우는 중기]<12·끝> 전문가 제언

“중소기업도 장애인·노인 등과 마찬가지로 정보화 소외계층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신 정보기술(IT) 등장으로 대-중소기업간 정보화 격차가 더욱 벌어지자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쏟아낸 말이다. 정부가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정보화 격차에는 그나마 관심을 가지면서도 유독 중소기업에 대한 배려나 지원에 무신경하다는 지적이다.

김현곤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기획단장은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화 강국으로 도약하면서 장애인·농어촌 등 정보 소외계층과 지역에 투자도 활발하게 진행해왔지만 경제·산업계의 약자인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정부는 장애인 차별금지법 등을 통해 웹접근성 준수 사업을 대대적으로 펼치는가 하면 정보화마을 구축 등 정보 소외계층에 꾸준한 투자를 단행 중이다. 덕분에 여전히 일반인에 뒤지지만 지난해 장애인의 정보화 수준은 일반인의 80%까지 상승했다.

김상훈 광운대 교수는 “글로벌 공급망관리(SCM) 등 기업정보시스템 하나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인 만큼 대기업에 비해 정보화 투자가 적은 중소기업은 갈수록 도태될 수밖에 없다”며 “최근 세계 시장은 대기업끼리의 경쟁이 아니라 대·중소기업 연합체간 경쟁이 중요해지는 추세를 감안할 때 우리 중소기업이 정보화에 소외되면 결국 산업계 전반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신기술을 중소기업 정보화 격차 해소의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도 쏟아졌다.

양유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진흥단장은 “소프트웨어를 빌려쓰는 형태의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를 활용해 기업용 솔루션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현재 정부가 구축 중인 SaaS마켓을 이용하는 중소기업에 혜택을 주는 방안도 고려해볼만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또 “사용료가 저렴한 공개SW를 중소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도 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경규 연세대 교수는 “섬유·의류·자동차 부품 등의 전문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식 데이터베이스 인프라를 구축해 공동 활용케 하는 것도 유용한 지원 프로그램”이라며 “신소재 특허·발명정보, 국가별 부품 표준 등 개별 기업에서는 꼭 필요한 정보지만 개별적으로 구축하기 힘든 인프라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정선 신한세라믹 전산담당 과장은 “매출 100억원 안팎의 중소기업들의 경우 ERP 등 전통적인 정보화에도 연 매출의 1% 이상을 투자해야 할 만큼 버거운 상황”이라며 “매칭펀드 방식의 직접 구축 지원과 별도로 인프라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정보화 지원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이슈로 떠오른 중소기업 기술유출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지원전담체계 정비와 예산 확대가 절실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중기 정보화 전문가들 제언

구분내용

인식전환중소기업도 정보화 소외계층 대접

신IT 활용SaaS 기반 기업용 솔루션 제공

공공인프라발명·특허·시장정보 등 지식DB 운영

기술 유출전담 지원체계 마련·지원예산 확대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