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남북 경색’보다 ‘글로벌 경기침체’ 더 우려”

기업인들은 ‘남북관계 경색’보다는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과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를 더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중앙회가 각각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14일 발표한 하반기 경영환경 전망에서 드러났다.

상의가 중견기업위원회·중소기업위원회 등 산하 11개 위원회 소속 기업의 CEO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2.7%가 하반기 경제 불안요인으로 ‘남유럽 재정위기’를 지목했다. ‘유가·원자재 가격과 환율 불안’(14.7%)이 뒤를 이었으며 ‘천안함 사태에 따른 남북관계 불안’(6.0%)은 ‘부동산 버블 붕괴’(12.7%) 등보다도 크게 낮았다. 하반기 경기 전망에 대해 57.3%가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28.7%가 ‘나아질 것’, 14.0%가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기중앙회가 중소기업 304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하반기 경영에 부담이 되는 외부 환경 요인으로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52.6%)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서 ‘유럽 국가들의 재정 불안으로 인한 경제위기’(18.1%)와 ‘환율불안’(12.8%)의 순이었다. ‘남북관계 악화로 인한 정세 불안’은 4.3%에 그쳤다. 하반기 경기에 대해 응답 기업의 37.8%는 상반기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상반기에 비해 좋아질 것으로 보는 기업은 36.8%로 나빠질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25.3%)보다 많았다. 하반기 주요 경영전략으로는 ‘원가절감’(31.3%)과 ‘신흥시장 확보’(29.3%)를 주로 계획하고 있으며 ‘판매유지’(14.8%) ‘기술개발’(12.2%) 등의 순으로 들었다. 투자 활성화를 위해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정책자금 직접대출 확대’(47.7%)를 고른 경우가 많았으며, 이어서 ‘중소기업 투자 세액공제 확대’(24.0%), ‘거래 대기업 및 공기업의 투자확대 유도’(10.2%) 등의 순이었다.

이현석 상의 전무는 “최근 우리 경제가 회복하고 있지만, 남유럽 재정위기 확산, 유가ㆍ원자재가 및 환율 불안 등이 하반기 경영 악재로 자리 잡을 수 있다”며 “출구정책 시행에 신중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