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 스마트폰보안증후군

Photo Image
안수민 보안팀장

 오과금·도청 등 잇따른 스마트폰 보안 문제가 화제로 떠올랐다. 청와대가 직원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하려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이 ‘부처 시연회에서 스마트폰이 해킹과 도청에 취약했다’는 지적에 부랴부랴 백지화한 점을 보면 스마트폰 해킹 문제는 민간 차원을 넘어 국가 안보 대상이 됐다.

사실, 스마트폰은 이미 해커의 먹잇감이 됐다. 해외에선 이미 해킹 사고를 유발한 스마트폰 악성코드 발생 사례가 다수 발견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한 미국발 악성코드가 국내에 수십건 출현했다. 통신 비용을 물게 하는 윈도 모바일 OS 스마트폰 악성코드도 처음 등장했다.

익히 알고 있는 스마트폰 보안 우려가 최근 사회 전반에 확산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국내외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 확대 경쟁을 벌이면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놀라운 속도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세계 최고의 보급 속도다. 사용자가 급증하다 보니 우리 사회가 그동안 겪지 못한 도청·오과금·분산서비스거부 공격·오작동 등 악의적인 스마트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는 당연히 나올 수밖에 없다.

스마트폰은 ‘손안의 PC’다. 크기와 메모리 용량 등이 작을 뿐 노트북PC·데스크톱PC처럼 OS를 탑재, PC 수준의 기능과 성능을 자랑한다. 해킹 위협 가능성은 스마트폰에서도 PC와 마찬가지로 상존한다. 어쩌면 스마트폰 보안 위협에 대한 과잉 반응은 스마트폰과 PC를 별개 사안으로 바라본 착시현상 탓이다. 오히려 해킹 가능성이 없다면 스마트폰 자격이 없다. 일반 휴대폰이다.

그렇다고 스마트폰에서의 보안 위협을 방관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예상 밖으로 스마트폰 판매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민관이 보안대책을 세울 충분한 시간과 인식이 부족했을 뿐이다. 방통위는 최근 스마트폰 보안위협 대응을 위한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 합동대응반을 가동했다. 지경부도 스마트폰 보안 솔루션 기술 개발 지원에 나섰다.

스마트폰 보안 위협 대응은 정부와 기업만의 몫이 아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도 보안 위협에 책임을 져야 한다. 불법 프로그램을 내려받지 말고 수상한 사이트는 방문하지 말아야 한다. 백신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에 설치·검사하는 등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쓰면 해킹 우려는 자연스럽게 해소된다. 스마트폰에서 해킹 우려와 보안 예방 수칙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말이 있다. ‘지나침이 크면 좋지 않다’는 뜻이다. 스마트폰 보안 위협을 간과해선 안 되지만 과도한 우려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단말기·애플리케이션·부품 등 첫발을 내디딘 우리나라 스마트폰 산업의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스마트폰은 반도체·LCD·휴대폰에 이어 우리나라 먹거리다. 스마트폰의 이점보다 보안 문제만을 과하게 짚는 것에 부화뇌동(附和雷同)할 필요가 없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