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비스 R&D` 중장기 전략 마련을

 앞으로는 인간 감성에 호소하는 전자제품을 디자인하는 데도 정부의 R&D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정부가 디자인, 금융, 교육, 헬스케어 등 서비스업 R&D 부문 예산을 대폭 늘린다고 한다. 지금은 전공에 제한을 두고 있는 R&D 연구개발 특례법을 개정해 인문·사회학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우리나라도 그동안 제조업에 비해 소외됐던 서비스업과 융합 분야 R&D로 눈을 돌려 집중 투자하겠다는 의지다.

 국내에서 R&D의 개념은 흔히 제품이나 기술 개발, 또는 제품 성능을 높이고 제조공정을 혁신하기 위한 활동으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제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갈수록 약화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돌파구는 서비스업이다.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독일과 일본도 서비스 혁신에 대한 연구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미국 IBM은 이미 ‘서비스 과학(service science)’이라는 새 영역을 개척중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비중은 OECD 평균보다 10% 이상 낮으며, 생산성은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기술과 서비스를 융합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 R&D를 강화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조치다.

 그동안 서비스 R&D 투자가 활성화하지 못한 데는 이 분야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이 없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정부는 이제라도 서비스 R&D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수립하고 중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번 정책이 그동안 제품과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는 당연시하면서도 서비스 R&D 투자에는 의문을 제기하는 사회 풍토가 바뀌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