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하이닉스 CEO 정략적 선임 안된다

그야말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하이닉스가 새 경영 진용을 갖추려 한다. 한때, 대한민국 주식 인구 절반을 움직이는 ‘주식 중의 주식’으로 통했던 이 기업은 이젠, 주인을 찾아 방황하는 ‘떠돌이 진주’가 됐다. 사실, 하이닉스가 맞닥뜨린 위기 또는 고비는 예전 대기업 간 사업 통폐합(빅딜)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짜여진 강압적인 사업 통합 구조는 더 이상 반도체를 세계적인 성장산업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시각의 산물이다. 사업의 손익 구조에 짜맞추기로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을 재단했던 것도 사실이다.

 이제 상황이 달라졌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대한민국 경제·수출과 산업 생산을 추동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두 산업의 원천기술과 공정기술은 같은 맥락에 있다. 두 산업의 시너지를 우리가 최대한 활용하고 경쟁국에 대한 공략 요소로 활용하면 효용가치는 더욱 커질 것이다. 그만큼 하이닉스의 장래에 대한 중장기적인 정책적 판단과 결정이 중요하다. 최고경영자(CEO)와 이사회 의장 등 새 경영진을 결정하는 것도 매우 신중해야 한다. 일단, 정부는 하이닉스에 대한 재정적 투자에 상한선을 두지 않겠다는 입장이 분명하다. 무엇보다 하이닉스가 가진 우리 산업 내 필요성과 입지를 존중하는 측면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CEO의 판단과 지향점이다.

 하이닉스의 차기 CEO는 회사 경영을 안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민이 갖고 있는 정서까지 복합적으로 보듬어야 한다. 하이닉스는 특정 회사 CEO의 추인을 주주를 넘어 국민에 물어야 할 정도의 국민적인 기업이기 때문이다. 정략적인 판단이 개입된다거나, 단기간의 필요성만 좇아 새 경영진을 선임한다면 이 경영진은 힘을 쓸 수가 없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