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2단지(서울 금천구 소재)가 국가가 지정하는 첫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로 선정됐다. 집적지구에 소재한 업체는 정부 프로젝트 참여 시 우선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향후 첨단산업 위주의 고도화 사업추진 전략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G밸리를 도심형 산업단지의 성공적 모델로 육성하기 위해 2단지를 지식기반 집적지구로 최초 지정해 고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는 지식·첨단기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법률로 지정해 고시하는 지역이다. 입주업체는 정부의 산업기술개발사업과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기술이전·사업화촉진사업 등에서 우선 지원 대상이 된다.
지경부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을 통해 2단지 내 지식기반산업, 정보통신업, 첨단 제조업을 적극 유치하고 이업종 간 융합을 촉진해 G밸리를 국가 지식산업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단지 내 창업보육센터를 확대해 지식산업의 창업여건을 개선하는 한편, 경영컨설팅업을 유치해 단지 내 업종 전환, 기업 간 교류와 결합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G밸리에 이미 입주한 25개의 공공 및 민간연구소를 적극 활용하면서 대학교 분원, 디자인 전문센터 등을 유치해 2단지 특화산업인 의류· 패션과 첨단 IT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산·학·연 클러스터’도 구성하기로 했다.
안성일 지경부 입지총괄과장은 “상대적으로 지식산업·IT 집중도가 낮은 2단지를 먼저 집적지구로 지정했다”며 “향후 1·3단지는 물론이고 전국 다른 지역도 지식기반 육성 대상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G밸리는 조성 당시인 1964년부터 1970년대 말까지는 봉제·섬유업종이 주를 이뤘으나 1980년대 전기전자 제조업, 1990년대 말부터는 첨단 IT업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재편됐다. 지금은 입주업체 76%가 지식·정보통신서비스, 첨단 제조업이다.
그동안 논란이 있었던 2단지의 의류·패션 소매업에 대한 규제는 다소 완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2단지 아파트형 공장의 지원시설에서 사업을 하는 의류매장의 면적을 기존 1000㎡에서 지원시설 전체 면적의 50%까지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