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난방에 신재생에너지원 활용이 늘어나고, 지역냉방도 확대 보급된다. 또 민간 사업자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경쟁체제가 구축된다. 반면 공급기준은 강화돼 공급구역 지정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3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 계획을 20일 최종 확정, 공고했다.
지경부에 따르면 우선 지역난방에 신재생에너지를 활용, 기존 LNG에 국한됐던 연료를 다변화하는 한편 총 주택수의 16.3%인 254만호(2008년 174만호)로 늘린다.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의 경우, 총 33개(2008년 24개) 사업장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2013년까지 지역난방의 경우 총 4조3070억원, 산업단지 집단에너지는 1조7916억원의 투자비가 소요될 전망이다.
지경부는 공동주택 시범사업 추진경과와 기술개발 추이에 따라 집단에너지 공급구역 내 공동주택 지역냉방을 확대 보급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지역냉방 관련 기술개발, 지원방안 강구 등을 통해 지역냉방을 활성화해 여름철 전력피크에 기여함과 동시에 열병합발전소의 가동률을 증대한다는 구상이다. 2013년까지 2008년 대비 135% 증가한 총 68만7119냉동톤(USRT)을 공급하는 게 목표다.
반면, 지역난방 관련 공급 기준은 강화된다. 제2차 기본계획의 구역형 집단에너지(CES) 기준을 삭제하고 기존의 최대열부하, 열사용량, 열밀도에 따른 공급기준을 강화했다. 집단에너지 공급구역 지정을 신중하게 한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강경성 지경부 에너지관리과장은 “이번 기본계획은 집단에너지사업법 제3조에 근거한 것으로 집단에너지가 성장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자율적 시장환경을 조성하고 시장원리를 점차 확대 적용하는 것 등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며 “2013년 기준으로 에너지절감량이 530만8000TOE(석유환산톤)이고 대기환경 오염물질 배출감소량 1889만6000탄소톤(TC), SOx, NOx, 먼지 등도 4만6250톤에 이르는 등 에너지 절약은 물론 대기환경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