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산업, 성장 가능성 크다”

수출 산업화 고려 정부 차원 지원 필요

친환경산업이 자동차·조선·휴대폰·석유화학 등을 잇는 우리나라 수출 주력산업으로 성장해 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또, 우리나라가 친환경 산업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성장 가능성 및 해외시장 공략 가능성이 큰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기업들도 친환경기술 개발 강화, 선진국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 기존 상품의 친환경상품화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국내외 친환경산업 산업동향 분석 및 국내 친환경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토대로 내놓은 ‘우리 기업의 친환경시장 진출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환경기술 시장은 지난 2005년 1조달러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오는 2020년에는 2조200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선진 각국은 친환경산업이 산업생산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산업중 하나가 될 미래유망산업이라 판단하고 전략적인 육성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 오바마 행정부는 향후 10년간 1500억달러를 투입하는 대규모 녹색산업 육성책인 뉴 아폴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일본은 작년 5월 21개 핵심 녹색기술개발을 위한 쿨 어스(Cool Earth)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산업 매출액은 지난 2006년 30조원 규모로서 전년대비 22.2%의 성장세를 보였으나 GDP 대비 3.4%에 머물러 친환경산업의 전략적 육성과 함께 기존산업의 친환경적 대안 마련이 필요한 상태로 분석됐다.

국내 친환경기업 156개사가 응답한 국제무역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73.7%(115개사)가 자사의 친환경상품 수출이 향후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해 친환경산업계는 미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와 선진국과의 기술력을 비교하면 우리 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64%에 달했고 비슷하거나 앞서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36%였다.

이에 반해 선진국과 비교한 우리의 가격경쟁력이 선진국에 비해 앞선다고 응답한 업체가 60.4%, 비슷하다가 20.8%, 뒤처진다가 18.8% 등의 순으로 나타나 국내 친환경산업이 가격 면에서는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이 인식하는 가장 시급한 정부의 지원 사항은 ‘금융 지원’(81개사, 25.8%)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마케팅 지원‘(77개사, 24.5%), ‘R&D 투자’(45개사, 14.3%), ‘환경규제 대응’ (39개사, 12.4%)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기술 수준,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 효과, 수출 산업화 가능성 등을 고려해 경쟁력을 갖춘 분야 및 기업에 대해 지원을 집중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 기업들이 해외 각국의 환경규제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각종 환경규제 및 환경법령을 모니터링하여 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전담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친환경 상품의 개발, 생산, 유통, 수출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기업 간의 정보, 기술, 상품화와 관련한 협력이 요구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한 클러스터 육성이 긴요하며 법률, 회계를 비롯해 연관부문도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기업의 친환경산업 진출 전략으로 △M&A로 원천기술을 확보하라 △연관산업을 적극 활용하라 △예상되는 새로운 규제에 선제 대응하라 △국제적인 환경 라벨링을 취득하라 △제품이 가진 문제점 개선에서 출발하라 △환경과 관련된 잠재 니즈를 공략하라 △기존 사업에 친환경코드를 입혀라 등을 꼽았다.

국제무역연구원 김희영 연구원은 “오늘날 중화학산업이 주력산업이자 수출 주도산업으로 자리를 잡은 것은 70∼80년대 정부의 산업정책에 힘입었듯이 지금은 친환경산업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집중 육성시켜야 할 때”라며 ”친환경산업이 급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세계 각 국간의 선점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한편, 기존 산업과 제품을 보다 친환경화하는 노력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