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정보 과거보다 더 믿어"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법적 처벌 두려움으로 댓글을 달지 못한 경험

 우리나라 네티즌들은 법적 처벌의 두려움으로 댓글을 기피한 경험이 외국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인터넷을 정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도구로 일본과 우리나라 네티즌은 댓글과 게시판의 역할을 꼽은 반면 중국과 미국은 서비스 업체의 모니터링 강화를 우선시했다. 또 다른 나라에 비해 인터넷 정보를 상당히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전자신문 미래기술연구센터(ETRC)가 실시한 ‘인터넷 정보의 유통체계 분석 및 신뢰성 연구’에 따른 것이다. 조사는 한국·미국·일본·중국 4개국 네티즌 1517명(한국 617명, 3개국 각 300명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관련기사 23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법적인 처벌의 두려움 때문에 댓글을 달지 못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우리나라가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 응답자 10명 가운데 무려 절반(49.2%)이 법적 처벌을 의식해 댓글을 달지 못한 적이 있다고 답한 반면 중국은 28.3%, 미국과 일본은 20% 내외에서만 그런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최근 정부의 강한 인터넷 규제로 인한 이용자의 활동 위축이 현실화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가능하다.

 인터넷 신뢰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인터넷 정보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답변보다 국가별로 3배에서 7배까지 높았다. 우리나라 네티즌은 ‘신뢰한다’(27.4%)가 ‘신뢰하지 않는다’(3.6%)보다 7배를 웃돌아 가장 신뢰가 높았다(보통 69.0%). 일본도 3배 이상 높았다. 한국과 중국 네티즌의 10명 중 6명은 인터넷 정보의 신뢰성이 과거보다 좋아졌다고 답해 나빠졌다고 답한 13.5%·4.3%를 훨씬 웃돌았다.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한 나라일수록 이용자들끼리 주고받는 정보에 대한 믿음도 높게 나타났다. 커뮤니티에 올라온 정보에 대한 신뢰는 우리나라가 37.7%(보통 57.4%, 불신 5.2%)로 4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중국(32.2%)이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커뮤니티가 덜 발달한 미국과 일본은 ‘신뢰한다’는 응답보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12%포인트(P) 더 높았다. 연구에 참여한 배영 숭실대 교수(정보사회학과)는 “인터넷 이용경험의 증가와 방대한 정보량, 검색기술의 진화 등이 우리나라 인터넷 정보 신뢰를 높인 요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인터넷 자정도구를 묻는 질문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은 게시판 토론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우리나라는 댓글 비중도 26.6%나 돼 정부 우려와는 달리 순기능이 더 부각됐다. 반면, 미국은 서비스 업체의 모니터링이 61.1%를 차지해 ‘사람’보다 ‘시스템’을 더 중시했다. 중국은 49.5%가 모니터링을 가장 중요한 자정도구로 꼽았으나 댓글도 34.3%로 나타나 통제 국가의 특성과 인터넷 활성화 측면을 동시에 보여줬다.

 조인혜·이강욱기자 ihch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