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불붙기 시작한 u시티 건설 열기가 올해 들어 더 뜨거워지는 양상이다.
최근에는 평택·천안·포항·부천 등이 u시티 구축 장기 계획을 밝히며 u시티 건설 대열에 합류했다. 지자체의 u시티 건설 붐은 가히 경쟁적이라 할 만하다. 종전에 u시티 건설 초안을 내놨던 부산은 이달 들어 u시티 브랜드명도 확정했다. 인천시는 u시티 건설에 4237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과감한 실천계획도 내놨다.
요원할 것으로 예상됐던 u시티 수출도 탄력받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최근 들어 베트남·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과 잇따른 u시티 개발계약을 하고 u시티 종주국으로서의 수출 역량도 과시하고 있다.
이처럼 지자체와 일반기업이 u시티 건설 및 수출과 관련해 앞으로 내달리고 있는 반면에 정부 정책의 보폭과 진척수준은 여전히 더디다.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돼 오던 도시 호환성 문제, 기술 표준화 문제 등은 여전히 미완 과제로 남아 있다. 그나마 정통부가 올해 들어 6개 u시티 테스트베드 과제를 띄우고, u시티 인프라 구축 가이드라인 및 인증제도 연구 계획을 밝히기는 했으나 국내 u시티 건설 속도에 비하면 턱없이 느리다. 정통·건교부의 가칭 u시티 건설지원법의 제정도 1년이 넘도록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
앨빈 토플러는 그의 저서 ‘부의 미래’에서 공공조직의 비효율성을 지적한 바 있다. 기업이 변화하는 속도는 시속 100마일인데 정부와 공공조직의 변화속도는 시속 25마일에 불과해 미래의 부 창출에 오히려 관이 방해된다는 지적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 같은 경향은 공통적인 모양이다. 하지만 다른 건 몰라도 u시티에서만큼은 이 같은 경향이 반복돼선 안 된다.
u시티는 국가의 차세대 수종사업으로 키울 만한 시작사업이다. 국토 균형발전의 문을 열기 위한 열쇠다. 국가정책의 가속도가 절실한 사업임을 잊지 말자.
최정훈기자<솔루션팀>@전자신문, jhchoi@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中 반도체 설비 투자, 내년 꺾인다…韓 소부장도 영향권”
-
2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3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4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5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6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7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8
단독롯데, '4조' 강남 노른자 땅 매각하나…신동빈 회장 현장 점검
-
9
상장폐지 회피 차단…한계기업 조기 퇴출
-
10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