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관련 학과 졸업해도 갈곳 없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게임교육기관 현황

 2000년 이후 게임산업 활성화로 전국 대학에 우후죽순으로 설치된 100여개 게임학과 졸업생 대다수가 게임업계의 좁은 문을 뚫지 못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요 게임업체의 경우 게임전문학과 출신 비중이 3%에도 못미치는 실정이다. 하지만 정작 게임업계 인사 관계자는 쓸 만한 인재가 없다며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게임시장이 지난 2001년(3조원 규모) 이후 해마다 30%씩 성장해 올해 6조원 규모에 이를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는 것에 비춰볼 때 이 같은 전문 인력 난맥상은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라고 지적한다.

 ◇게임학과 우후죽순, 커리큘럼 부실=한국게임산업개발원은 ‘국내 게임 교육기관 현황(2006)’ 자료에서 전국적으로 게임 관련 학과를 개설한 전문대학 이상 교육기관이 50여개(4년제 20여개, 전문대학 3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게임학과 교수들은 2000년대 초반에만 해도 10개에 불과했던 게임 관련 학과 수가 지난해 말 전국적으로 120개에 이르면서 연간 5000∼6000명의 학생을 배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각 대학이 산업호조에 따른 학과 개설에만 급급, △전문성을 갖춘 교수진과 커리큘럼 확보 등을 통한 교육 전문성 확보 △실습실 지원 등의 미비로 인해 전문 인력 양성에 소홀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게임업계는 “게임학과의 한 해 졸업생이 줄잡아 5000명에 이르지만 정작 필요한 기획·3D 프로그래밍·그래픽 분야 등에서는 쓸 만한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도리어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게임개발자 모임인 한국게임개발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크고 작은 게임 개발사는 현재 1000여개 이며 게임개발 종사자는 4만∼5만명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학은 취업난, 기업은 인력난=주요 게임 관련 업계와 게임학과 교수들은 최근 전국 대학의 게임관련 학과 졸업생의 평균 취업률은 30%였으나 전공을 살려 취업한 비율은 3%에 머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국내 메이저 게임업체 개발인력 가운데 게임 관련학과 출신 비율도 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표참조>

 엔씨소프트·넥슨·NHN 등 직원이 1000명 이상 되는 주요 게임업체의 경우 최근 3년 동안 신입공채로 게임 관련 학과 졸업생을 뽑은 곳은 거의 없고 그나마 경력자를 일부 채용했다고 밝힐 정도다.

 국내 유명 게임전문대학 출신으로 게임업체 N사에 입사한 K씨(27·남)는 “입학 시 게임학과의 인기가 매우 높아 동기생 80명 가운데 수능성적이 좋은 친구들이 많았다“며 “하지만 졸업 후 주요 게임업체에 진출한 친구는 다섯 손가락에 꼽을 정도며 대다수가 군소 게임개발사 또는 다른 업종에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넥슨 관계자는 “특정대학 및 학과 출신을 우대하거나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면서 “다만 게임관련 학과 출신들이 기존 컴퓨터공학과·디자인학과 출신들에 비해 인력 풀이 적고 취업경쟁이 치열한 탓인지 채용비율이 매우 낮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최신 스토리텔링 추세나 급속한 기술 변화를 반영하는 업계 특성상 미숙련 인력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뜻인 셈이다. 넥슨은 전체 직원 1200명 가운데 게임유관 학과 출신이 10명 안팎이다.

 ◇프로젝트 및 산·학연계 교육 강화 절실=게임 관련 학과 졸업생을 잠재적 실업자로 만들지 않기 위해 대학이 실용적 교육기관으로 변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예로 게임산업개발원 산하 게임아카데미는 현업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를 강사진으로 대거 영입하고 철저한 학사관리와 프로젝트 위주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90% 이상의 취업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대학의 게임 관련학과는 3D 그래픽은 고사하고 네트워크도 지원되지 않는 80년대 풍의 수준 낮은 작품을 졸업작품으로 내놓고 있으며 그나마 이를 내놓지 못하는 곳도 부지기수인 실정이다.

 김광삼 청강문화산업대 게임학과 교수는 “학생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으려면 졸업작품 또는 포트폴리오로 승부해야 한다”며 “대학은 최단 1년 이상 프로젝트 기반의 게임개발 교육을 해야 하며, 기업도 인턴제 도입 등 산·학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종윤기자@전자신문, jy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