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C기술 국내 병원에 첫 도입

모든 컴퓨팅 작업이 중앙 서버에서 이뤄지는 서버기반컴퓨팅(SBC)기술이 국내 병원에 처음으로 도입된다.

SBC는 단말기에 관계없이 원격 작업이 가능해 의사가 의료관련 중요 데이터를 원격으로 접속하고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인천중앙병원은 의사들이 가정에 있거나 출장 중에도 환자 관련 데이터를 병원 내에서 보는 것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 SBC시스템을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인천중앙병원은 현재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 중으로 이달 안에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SBC가 구축되면 인천중앙병원 의사들은 처방전달시스템(OCS)과 의료영상전송시스템(PACS) 등 병원 시스템내 모든 데이터를 원격으로 보고 작업할 수 있다.

시스템구축을 담당한 정갑현 유플랫폼 사장은 “기존에 병원 밖에서 병원정보시스템 접근이 힘들었지만 SBC가 이를 가능케 한다”며 “데이터량이 큰 PACS 자료도 원격으로 볼 수 있어 진정한 원격의료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유무선 단말기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의사의 기동성을 높이고 보안도 강화됐다고 덧붙였다.

업체 관계자는 “중요 정보를 중앙서버에서 관리, 정보유출 가능성이 적고 기존 네트워크 대역폭의 10%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보고 작업할 수 있다는 점이 SBC의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올해 SBC시장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시장규모가 지난해 400억원보다 두 배 많은 800억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현재 한국국제협력재단, 현대자동차 중국공장, 대웅제약 등 60여 개 기업·기관에서 SBC시스템을 도입, 운용 중인데 이 같은 추세는 확산 중이다.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조만간 30억원 규모의 대형 SBC시스템 구축프로젝트를 발주할 예정이어서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윤대원기자@전자신문, yun1972@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