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카이스트 유진 소장

Photo Image

 “친환경적인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술(SiP)이 소형화를 지향하는 이동 전화기나 디지털 카메라, MP3P 등의 크기에 조만간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다기능 반도체 칩을 3차원으로 10개 층까지 쌓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SiP를 국내 처음 상용화 수준으로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자패키지재료연구센터 유진 소장(55)은 “이번 연구성과는 SiP기술의 교두보를 확보한 셈”이라며 “납 등 중금속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유럽 반도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납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접합기술인 ‘레드프리’ 기법을 새로 개발해 적용한 데다 현재 경쟁하고 있는 시스템온칩(SoC)기술과 비교해서도 기능 대비 가격이나 생산성이 월등히 우월합니다.”

 친환경적인 기술임을 강조하는 유 소장은 “서울대나 포스텍 등 반도체 분야에서 뛰어난 학계의 여러 교수진과 연구진이 많이 참여하다 보니 기획을 하고 단위 기술을 설계, 세팅하는 작업이 유난이 힘들었다”며 “당장 기업체에서 쓸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낸 것은 드문 경우”라고 말했다.

 “첨단 복합 기술을 전공이 다른 여러 교수가 요소 기술을 정의하고 역할분담한 후 이를 종합해 시제품을 만들었습니다. 어려움이 많긴 했지만 대학 간 공동연구의 새장을 열었다고 자부합니다.”

 유 소장은 “3차원 SiP 개발에는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에서 공을 들이고 있다”며 “특히 일본의 경우는 산업계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차세대 전자제품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이 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시장에서는 메모리 칩 등을 2개 정도 적층한 칩을 휴대전화 등에 사용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그나마 칩 간 연결을 선으로 하는 와이어 본딩 방식으로 배선하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 축소나 적층 칩의 개수를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유 소장은 “시제품의 설계와 제작, 특성 평가까지 모두 개발이 완료돼 바로 기술 이전할 경우 휴대전화나 와이브로 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본다”며 “무엇보다 기존 와이어 본딩 방법보다 전기적 특성이 10배 이상 우월한 관통전극 방법을 쓴 기술로 칩을 10층까지 쌓기는 국내 처음”이라고 덧붙였다.

 “궁극적으로 나노기술까지 접목될 경우 칩 자체가 생산기능을 갖춘 공장이 될 것입니다. 10년 후면 크기 1㎜ 이내에서 칩을 수십 층으로 쌓게 되는 기술 수준에 올라 의료용 로봇이나 바이오칩 분야에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