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사회](7.끝)구현 시기와 효과

국내 유비쿼터스 전문가들은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기술을 ‘네트워크’와 ‘모바일’로 지목했다. 또 이들은 유비쿼터스 기술의 본격적인 확산 시점을 오는 2010년으로 내다봤으며, 특히 미래 u사회의 실현 시기는 오는 2015년 전후로 전망했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전산원은 ‘전문가 10인이 바라보는 유비쿼터스 사회’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국내 전문가들의 견해를 집대성했다.

 이번 보고서는 u사회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의 식견을 체계적으로 담기 위해 유비쿼터스 관련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국내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조사를 통해 완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우선 u사회의 개념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사람·사물 모두 포함) 상호작용이 가능한 최첨단 정보사회로 인식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 비중을 뒀다. 그 다음으로 IT가 이용자의 지시 없이도 자동으로 우리의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관점을 중시했다.

 u사회의 실현 시기에 대해 전문가들은 2015년 전후로 전망하면서도 여러 가지 변수가 많은만큼 다소 신중한 태도를 견지했다. 또 유비쿼터스 기술이 활발하게 보급되는 시점은 2010년으로 전망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u사회에서도 여전히 IT강국의 위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 이유로 △높은 IT 발전 수준과 발달된 정보통신 인프라 △새로운 기술에 대한 높은 수용성 △정부의 방향 제시 및 강한 선도 의지 △도시화 정도와 높은 인구 밀집도의 조건 등을 꼽았다.

 향후 u사회에서도 앞서가기 위해 갖춰야 할 조건으로는 △정책의 일관성 △핵심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능력 강화 △정보마인드 확산과 정보격차 완화 △산업적 측면에서 벗어나 포괄적 시각 접근 필요 등을 조언했다.

 전문가 10인 모두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기술은 네트워크와 모바일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센서 기술, 대용량 데이터 관리 및 처리 기술, 보안기술, 인공지능기술(로봇) 등의 순으로 제시했다. 유비쿼터스 기술은 물류·교통 등 SOC 부문과 의료 및 건강 부문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u사회의 분야별 변화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은 의견을 피력했다. 정치·행정 부문에서는 양방향 의사소통의 활성화로 인해 국민참여가 활성화되는 반면, 대국민감독 강화가 우려사항으로 제기됐다. 경제 부문에서는 전체적으로 경제의 효율화와 투명화가 이뤄지는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고용구조의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부문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해 체험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이 이뤄져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반면,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교육철학과 기술 간 갈등이 우려 요인으로 드러났다. 의료 부문에서는 환자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해져 건강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반면, 의료문제 발생에 관한 책임소재 문제가 복잡해지는 어려움이 예견됐다.

 전문가들은 u사회에서도 역기능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며,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새로운 위험에 대응해야 하고 u사회의 역기능 중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강조하고 있다.

 u사회 실현을 위한 도전과제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가장 우선시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의견을 모았다. 또 체계적인 정책수립과 더불어 핵심기술 개발 및 사회문화적 연구도 강조했다. 게다가 정부는 밑그림을 그리고 민간은 실제 구현을 담당하는 정부·민간 역할론도 제안했다.

 이 보고서의 원본은 한국전산원 홈페이지(http://www.nca.or.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