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u시티 포럼`에 거는 기대

 미래형 도시 건설 사업인 u시티 사업 추진의 중심축 역할을 할 ‘u시티 포럼’이 공식 출범했다. 앞으로 이 포럼은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u코리아 구현의 밑바탕이 될 u시티 구축 방향을 설정해 모델 제시는 물론이고 기술 표준화와 관련 법·제도 정비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여기에 관·민·산·학·연 전문가들의 역량을 집중하여 u시티 확산·보급에 기여하겠다는 뚜렷한 목적을 밝혀 앞으로 활동 의지가 느껴진다. 이 포럼이 활성화하여 u시티의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고 u시티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면 국가전략사업으로서 u코리아 전략을 추진하는 데 큰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무엇보다 이 포럼에 정보통신부, 건설교통부를 비롯한 정부 관계자는 물론이고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학계, 연구계, 주요 건설 및 IT업계 등 u시티와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모두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특히 u시티는 정부나 건설사, 지자체, IT기업 등 어느 한 곳에서 추진하기 어렵고 관련 유관기관이 모두 함께 협력해야만 성공할 수 있기 때문에 관·민·산·학·연 전문가가 지혜와 힘을 모을 장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갖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사실 u시티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해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인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 보장, 신산업 창출 등 도시 제반기능을 혁신할 수 있는 21세기 정보통신 융합 신도시를 말한다. 때문에 기존 도시개발 후 정보화를 추진하는 도시정보화와 달리 도시 설계 초기 단계 때부터 정보화 모델을 수립해 신도시 건설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u시티 구축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000만 디지털 홈 사업, IT839 기술 개발, 국가균형발전 정책 등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u시티 구축은 IT·건설 등 관련 산업 분야는 물론이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견인하는 선순환적 발전모델을 창출하는 ‘국가 뉴 패러다임 사업’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전세계적으로 u시티 구축 움직임이 활발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우리나라도 다가올 유비쿼터스 사회에 주목하면서 각 지자체가 u시티 구축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미 이를 구체화한 곳도 있다. 하지만 뚜렷한 모델이 없어 각 지자체가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u시티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확실한 비전을 수립하지 못한 채 u시티 구축을 추진한다면 오히려 도시민의 삶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거주비용을 높이는 등 부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소지마저 있다.

 우리가 u시티를 다른 나라보다 앞서 추진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비전 설정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표준 모델을 기반으로 도시 설계를 함으로써 효율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더욱 긴요하다. 따라서 u시티 포럼에 참여한 각계 전문가가 지혜를 모아 각 지자체 현황에 맞게 u시티를 구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길잡이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u시티는 표준화와 호환성 문제 해결이 선결 과제이기 때문에 이를 포럼에서 푸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u시티 포럼이 건설과 정보통신 기업뿐 아니라 정부, 유관기관 등 공식·비공식 기관을 모두 포괄하는 형태로 결성된만큼 활발한 토론을 통해 u시티 구축 장벽을 제거하고, 자원 및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할 발전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면 IT정책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지역 간 또는 중앙과 지방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하고, 지역이 연계돼 공동사업을 추진한다면 u코리아 구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