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BcN시범사업자 선정 이후 과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이후 추진 계획

31일 시범 사업자 선정으로 광대역통합망(BcN) 서비스 모델 개발이 본격화했다.

그렇지만 탈락한 SO연합체가 독자 추진을 고집, 시너지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추가 조치가 절실하다. 통신사업자가 다양한 시범 서비스 참여에 따른 투자 분산과 차별성 없는 서비스 등의 우려에 대한 대책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독자 추진 선언한 케이블TV업계=정부는 BcN 시범사업을 통해 통신사와 지상파 방송, 케이블TV업체가 IP를 기반으로 한 첨단 광네트워크의 울타리에서 자연스레 통방 융합을 고민하는 장을 만들려 했다.지상파와 지역 방송사들을 특정 컨소시엄에 넣지 않도록 유도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지만 주관사업자를 고집한 SO연합체인 ‘케이블BcN’이 탈락하고 독자 추진을 강행키로 의견을 모으면서 차질을 빚게 됐다.

케이블BCN은 케이블BCN은 다른 컨소시엄의 조기 상용화 가능성이 낮아 협력이 케이블 기반 BcN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독자적인 행보를 선언했다. 케이블BCN은 “정부가 3개 사업자를 선정키로 해 HFC망을 활용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통신사업자 일색으로 선정해 유감스럽다”라면서 “방송 콘텐츠가 단지 통신서비스의 번들 상품이 되는 점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케이블BCN은 94개 SO가 공동설립한 디지털케이블연구원(KLabs)를 통한 HFC기반 서비스 모델에 대한 산업 표준화(안)를 마련하고,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산하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 주관 하에 공동으로 테스트베드를 운영할 계획이다. 미국의 NGNA(Next Generation network Architecture) 모델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강중협 정보기반보호 심의관은 “통·방 융합서비스를 위해 SO들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역무내에서 SO들이 독자 서비스를 추진한다면 정부가 나서 막지 않겠다”고 말했다.

◇표준 기술과 서비스 모델 개발, 투자 견인이 관건­=BcN 사업이 성공하려면 FTTH와 HFC 등 각 망의 특성을 살리면서 음성과 영상,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QoS)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 또 유·무선 연동 영상전화와 HD급 주문형동영상(VoD) 등 2010년 100Mbps급의 광네트워크를 구축한 이후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찾는 것도 급선무다.

서비스 사업자가 바뀌어도 불편하지 않게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고 망관리, 품질, 보안 등을 통합 운영하는 통합망 관리시스템 구축도 시급하다. 통신사업자들이 BCN은 물론 홈네트워크,IPv6 등 다양한 시범사업에 중복 참여함으로써 투자가 분산될 가능성도 있다.

강중협 심의관은 “시범사업자간 협의회를 꾸려 상용화를 대비한 각종 과제들을 순차적으로 해결해가겠다”면서 “2조의 선도투자(정부 1조2000억, 민간 8000억)와 시범사업을 통해 67조원의 민간 투자를 끌어내 유비쿼터스 시대를 선점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정지연·유병수기자@전자신문, jyjung·bjor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