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용 IT기술 개발 늑장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장애인 IT기술 지원 현황(1996~2003)

장애인·노인 정보화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으나 정작 소외계층을 겨냥한 국책 정보통신기술 개발 과제는 그 상용화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원장 손연기)이 최근 국가연구개발과제정보검색시스템(http://www.naris.re.kr)을 통해 조사한 40여 건의 장애인용 정보통신기술 개발 과제 중 현재까지 상용화 여부가 확인된 과제는 불과 3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과제 관리기관인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은 지난 95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동안 ‘시각 장애인용 인터넷 사용도구 및 웹 사이트 개발’ 등 43여 건의 과제를 정보통신 선도기반기술개발 사업 명목으로 예산지원했으나 사업 수행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30여건 가운데 상용화된 건은 고작 3건이었다. <표 참조>

이가운데 특히 장애인을 위한 기술 개발 과제는 장애인용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화면키보드, 원격 교육용 시스템 등 장애인 정보화를 위한 실질적인 연구 과제로, 적게는 3000만 원에서 7억 원 가량의 예산을 투입했으나 대부분 상용화되지 못했다.

또 지난 2000년 이후 국책 연구 개발 지원 사업으로 지정된 시각·청각 장애인 포털, 소외계층을 위한 온·오프라인 멀티미디어 , 점자단말기 및 웹브라우저 등은 아직 개발 완료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는 등 과제에 대한 관리자체가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현상은 이들 과제를 상용화할 만한 중소기업들이 시장성 불투명 등을 이유로 선뜻 나서지 못하는데다 정부 차원에서도 체계적인 후속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IITA측은 “소외계층 정보통신 기술을 제품화할 기업들이 자금 여력이 없으며 각 연구 수행 주체가 기술 개발 이후 이를 상용화해 매출을 발생하지 못하더라도 관리 기관이 관여할 근거는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민간 장애인 관련 단체의 한 전문가는 “해마다 다양한 관련 연구 과제가 수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시장에 판매되는 제품은 외산이거나 고가의 일부 제품에 한정돼 있다”며 “국가 예산을 투입해 추진한 연구 성과물인 만큼 상용화를 위한 대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