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RFID산업 경쟁력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RFID 벤처 펀드(가칭)’가 시급히 조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 RFID산업화 협의회(회장 권영빈)는 29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창립 총회를 열고 RFID 산업 육성과 저변 확대를 위해 정부와 민간 공동의 ‘RFID 펀드’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번 창립 총회에는 이희범 산자부 장관을 비롯, 김동훈 한국전자거래협회 부회장, 김효성 대한상의 부회장, 이승한 삼성테스코 사장, 한경환 하이트랙스 사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칩과 태그 국산화에서 응용 서비스 모델까지 국가적인 차원에서 RFID 분야 육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개발 자금이 필요하다”며 “벤처 캐피털 등 금융 기관, 정부, 산업계가 공동으로 펀드를 구성해 개별 업체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이를 국가 경쟁력으로 끌어 올릴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서울대 차상균 교수는 “국내 RFID 프로젝트가 대부분 정부 주도로 진행돼 규모가 작을 뿐더러 실제 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원천 기술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펀드를 조성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차 교수는 또 “이미 일본은 원천 기술 확보와 칩·태그·리더 국산화를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5000만 달러 규모의 ‘RFID 펀드’를 조성중”이라며 “우리도 더 늦기 전에 기술 개발과 시장 육성을 위해 공동의 개발 자금 확보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산자부 박봉규 무역투자 실장은 “정책 펀드는 정부에서도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라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이른 시일 내에 펀드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도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혀 RFID 펀드 조성에 긍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또 이날 총회에서 서병륜 한국파렛트풀 사장은 “칩·태그 등 원천기술을 국내 업체가 갖지 못하면 자칫 시장을 키우더라도 다른 나라 좋은 일만 시킬 수 있다”며 “협의회의 우선 과제의 하나가 원천 기술 확보에 두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희범 산자부 장관도 “RFID 표준화, 기술 개발, 초기 시장 형성 등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까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창립 총회에서는 위원 만장 일치로 권영빈 중앙대 교수를 초대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또 산업화위원회 지원을 위해 ‘RFID 정부 지원단’을 구성했다. 정부지원단에는 산자부 김칠두 차관, 이계형 무역유통국장, 건교부 이인수 수송물류국장, 정통부 강중협 정보기반보호국장, 관세청 손병조 통관지원국장, 표준원 이화석 신산업 기술표준 부장 등 주요 정부 부처 국장급 10명이 위촉됐다.
강병준기자@전자신문, bjkang@
[RFID협의회 초대위원장 권영빈 중앙대 교수]
국내 RFID산업 경쟁력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RFID 벤처 펀드(가칭)’가 시급히 조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 RFID산업화 협의회(회장 권영빈)는 29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창립 총회를 열고 RFID 산업 육성과 저변 확대를 위해 정부와 민간 공동의 ‘RFID 펀드’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번 창립 총회에는 이희범 산자부 장관을 비롯, 김동훈 한국전자거래협회 부회장, 김효성 대한상의 부회장, 이승한 삼성테스코 사장, 한경환 하이트랙스 사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칩과 태그 국산화에서 응용 서비스 모델까지 국가적인 차원에서 RFID 분야 육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개발 자금이 필요하다”며 “벤처 캐피털 등 금융 기관, 정부, 산업계가 공동으로 펀드를 구성해 개별 업체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이를 국가 경쟁력으로 끌어 올릴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서울대 차상균 교수는 “국내 RFID 프로젝트가 대부분 정부 주도로 진행돼 규모가 작을 뿐더러 실제 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원천 기술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펀드를 조성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차 교수는 또 이미 일본은 원천 기술 확보와 칩·태그·리더 국산화를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5000만 달러 규모의 ‘RFID 펀드’를 조성중이라며 우리도 더 늦기 전에 기술 개발과 시장 육성을 위해 공동의 개발 자금 확보가 시급하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산자부 박봉규 무역투자 실장은 “정책 펀드는 정부에서도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라며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이른 시일 내에 펀드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도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혀 RFID 펀드 조성에 긍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이날 창립 총회에서는 위원 만장 일치로 권영빈 중앙대 교수를 초대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또 산업화위원회 지원을 위해 산자부 김칠두 차관, 이계형 무역유통국장, 건교부 이인수 수송물류국장, 정통부 강중협 정보기반보호국장, 관세청 손병조 통관지원국장, 표준원 이화석 신산업 기술표준 부장 등 주요 정부 부처 국장급 10명으로 ‘RFID 정부 지원단’을 구성했다.
강병준기자@전자신문, bjkang@
(설명)톱 기사에 붙여 주세요
“산업화 협의회의 목적은 RFID 분야 육성을 위한 산학연 협력과 정보 공유 체계의 구축입니다.”
지난 29일 공식 출범한 ‘RFID산업화협의회’의 초대 위원장으로 선임된 권영빈 중앙대 교수(50·컴퓨터공학부)는 “앞으로 협의회는 표준화, 시범 사업, 응용 서비스, 법과 제도 등 4개 분과로 나눠 실제 산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사용자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표준화, 개인 정보 보호 등 RFID의 주요 이슈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표준협회· 유통물류 진흥원· 전자거래협회 등 주요 단체를 간사 기관으로 조속한 시일 내에 분과 별로 20명 내외의 실무 위원을 선임해 협의회와 별도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RFID 시장이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태그 저가격화, 주파수 환경 정비, 응용 비즈니스 모델 등 모든 분야에서 정부와 산업계가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협의회는 앞으로 이를 위한 산업계와 정부를 이어 주는 채널 역할을 맡게 됩니다.”
권 위원장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정통부와 중복 단체라는 의견에 대해 “태그와 칩 기술 국산화는 산자부 보다는 정통부에서 맡는 게 올바르다는 판단에서 제외했다”며 “협의회는 앞으로 법과 제도,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에 중점을 두어 차별화를 시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산업화협의회 초대 위원장을 맡은 권영빈 교수는 아주대·한국과학기술원을 졸업하고 지난 86년 중앙대 조교수로 부임해 현재 중앙대 정보산업대학원 원장, 자동식별 및 데이터인식 전문위원(SC31) 한국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
1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2
현대차, 차세대 아이오닉5에 구글맵 첫 탑재
-
3
서울시, '한강버스' 2척 첫 진수…해상시험 등 거쳐 12월 한강 인도
-
4
이재명, 위증교사 1심 재판서 무죄
-
5
'각형 배터리' 수요 급증…이노메트리, 특화 검사로 공략
-
6
MS, 사무용 SW '아웃룩·팀즈' 수 시간 접속 장애
-
7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8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9
[뉴스의 눈]삼성 위기론 속 법정서 심경 밝힌 이재용 회장
-
10
배달 치킨 가격 또 오른다…프랜차이즈 '이중가격제' 논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