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미국식 DTV 끝까지 고수"

 정통부가 DTV 전송방식과 관련 30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기존 미국식 방식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강력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방송사들이 연말로 예정된 5대 광역시 디지털 방송 전환일정을 연기하고 있는 데 따른 대책도 제시하는 등 조기 디지털 방송 실시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정통부는 앞서 29일 서울 무교동 한국전산원에서 DTV 해외실태 조사단 합동보고서 작성을 위한 첫 회의를 개최했으나 미국식·유럽식 진영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내달 2일부터 이견을 보인 부분에 대한 조율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나 공동 보고서 작성에는 난항이 예상된다.

 정통부는 “29일 회의에서 정통부가 유럽방식(DVB―T)을 희망하는 방송사에 대해 유럽식 이동방송 규격(DVB―H)에 의한 이동방송 서비스를 허용하겠다고 전격 제안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관련해 “DVB-H는 비디오 및 오디오 규격조차 확정되지 않은 개발단계에 있으며 DMB를 채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차선책이 될 수 있겠으나 이동·휴대면에서 DMB의 경쟁상대가 될 수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재홍 정통부 방송위성과장은 “미국식 HD방송과 함께 DMB를 통한 이동·휴대 수신 방안이 최적이며 DVB-H를 추후에 허용해주더라도 현실적으로 방송사는 DMB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며 “정통부가 DVB-H방식을 방송사에 제안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 과장은 또 “DMB용 주파수 추가 할당은 현재 수도권에서 채널 VHF 12번만이 가용한 상태로 추가 채널 확보를 위해 관계기관과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로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덧붙였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