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차원 `e헬스` 육성 나선다

 유관부처간 이견을 보여왔던 e헬스 산업 육성방안이 마침내 범 정부차원에서 마련될 전망이다.

 9일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e헬스 인프라 구축을 위해 업계와 학계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며 “이달 중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사무국으로 하는 ‘보건의료정보화 자문단’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산자부가 e헬스 분야 산업화에 나서고 있으나 이에 앞서 법제도 개선과 표준화 등이 선결돼야 한다”며 “산자부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부와도 협조를 통해 범정부 차원의 e헬스산업육성 정책을 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산자부측도 “ASEM전자상거래콘퍼런스를 통해 e헬스가 공식 논제로 채택된 이상 정부차원에서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며 “유관부처와 협력을 통해 e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고 관련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답했다.

 이에따라 앞으로 e헬스산업에 대한 육성방안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에앞서 보건복지부는 “의료 관련 정책은 인명과 연관돼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고 업계 현실도 감안해야 한다”며 산자부측의 e헬스 조기 산업화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본보 10월14일자 3면 참조

 보건부의 이같은 결정은 그동안 e헬스 분야육성이 이르다는 견해에서 크게 선회한 것으로 지난 27일 서울에서 개막됐던 ‘아시아·태평양정상회의(ASEM) 전자상거래 콘퍼런스’에서 e헬스가 정식의제로 상정된 것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산업자원부는 이에앞서 지난달 e헬스 산업이 e비즈니스 분야 핵심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e헬스발전협의회를 결성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여온 반면 주무부처인 보건부는 여건 미성숙 등을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등 상반된 입장을 보여왔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