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DMB·지상파DMB "누가 셀까?"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위성DMB·지상파DMB 비교

내년 상반기 상용 서비스를 앞두고 있는 위성DMB와 지상파DMB, 어느 매체가 더 우위를 점할 것인가.

 두 매체가 초기에는 서로 보완적 관계로 발전할 것이라는 예상에서 추진됐으나, 지상파DMB가 음성뿐 아니라 영상서비스까지 가능한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두 매체간 우열 논란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또한 위성DMB와 지상파DMB 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 등의 대기업과 기존 방송사간의 대규모 컨소시엄 형태의 신규 법인 설립이 불가피해 대기업과 방송사들은 컨소시엄 참여와 지분투자를 위한 저울질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비스 내용=위성DMB는 25㎒ 대역을 통해 총 40여개 채널을 운용할 수 있다. 현재 위성DMB 사업을 준비중인 SK텔레콤은 지상파TV 재송신 중심의 비디오 채널 11개, 음악과 뉴스 중심의 오디오 채널 25개, 각종 정보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채널 3개를 운용할 계획이다. 휴대형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가 주력 마케팅 대상이며, 월 1만2000∼1만5000원의 수신료와 가입비 2만원, 방송을 통한 광고 등이 주수익원이다.

 지상파DMB는 내년 상반기중 오디오 방송서비스를 시작해 2005년에야 비디오 방송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 6㎒ 대역을 시작으로 3개 사업자가 각각 오디오 채널 2∼3개, 비디오 채널 최대 2개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무료로 서비스할 예정이기 때문에 광고로만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준비현황=위성DMB에서는 SK텔레콤이 뛰고 있다. 반면 현재 지상파 DMB 3개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KBS·MBC·SBS 등 지상파TV3사가 경쟁을 벌인 가운데 YTN 등 여타 방송사도 뛰어들 채비를 갖추고 있다.

 SK텔레콤은 다음달중으로 위성DMB 컨소시엄을 구성, 8월에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위성DMB 컨소시엄은 SK텔레콤이 30%, 지상파·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방송사업자, 자동차 제조사, 통신사업자 및 단말기 제조 가전사 등이 50%, 해외 제휴업체가 10%, 벤처캐피털 및 일반 법인이 10% 등으로 지분이 구성될 전망이다.

 지상파DMB 사업자 3개 컨소시엄은 각 지상파방송3사를 중심으로 채널을 구성할 PP, 군소 라디오방송사 등이 컨소시엄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방향=방송위가 방송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위성DMB의 경우 위성방송사업자에 해당하며, 대기업(현행 방송법상 자산규모 3조원 이상의 대규모 기업집단)과 그 계열회사, 일간신문이나 통신을 경영하는 법인, 외국인으로부터 33%까지 지분을 출자받을 수 있다. 또한 시장점유율, 사업자수, 시청점유율 또는 시청자점유율 등을 고려해 겸영을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상파DMB의 경우 지상파방송사업자 중 지상파다채널방송사업자에 해당하며 대기업과 그 계열회사, 일간신문이나 통신을 경영하는 법인으로부터 33%까지 출자받을 수 있지만, 외국인으로부터는 출자받을 수 없다.

 ◇사업전망=전문가들은 위성DMB와 지상파DMB가 경쟁매체의 관계로 자리잡을 것이기 때문에 국내 시장에서 한 매체가 절대적인 우위에 오를 것이라고 점치고 있다. 우선 우위를 위해서는 시장선점이 최대 관건으로 꼽히는데, 예정대로라면 위성DMB가 유리한 위치에 있다.

 위성DMB의 경우 내년 5월 상용서비스 예정이지만, 지상파DMB는 내년 상반기중 오디오 서비스만 가능하고 2005년에나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성DMB도 주파수 조정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서비스가 일정대로 시행될지는 의문이다.

 또한 매체접근성에서는 무료로 서비스될 지상파DMB가 유리하다. 국내 시청자가 유료방송에 보수적인 측면도 위성DMB에 불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하지만 현재 시행중인 동영상 서비스인 준의 사례를 감안할 때 젊은층의 유료 휴대형 방송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또다른 시각에서 분석해 볼 필요도 있다. 이밖에 단말기 생산과 보급 측면에서는 위성DMB가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추진사업자가 하나인 위성DMB의 경우 주도적으로 가전사와 협의해 단말기 생산·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지상파DMB의 경우 단말기 개발이 늦어지고 있으며 향후 선정될 3개 사업자의 의견조율도 어려워 단말기 생산·보급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유병수기자 bjor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