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션 BMT, 3강 3중 2약(테스트에 앞서)
인터넷 공유기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PC 하드웨어 중 하나다. 사용자의 인터넷 회선과 모뎀, 사용 중인 PC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수들로 느끼는 체감속도는 각기 다르다. 실측 테스트 이전에 좀더 객관성있는 테스트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해 벤치비(http://www.benchbee.co.kr)의 도움을 통해 시뮬레이션 BMT를 먼저 실시해봤다.
시뮬레이션에서 실측 테스트와 마찬가지로 총 4개의 회선 속도를 임의로 정해 테스트를 실시했다. 테스트 결과 ADSL·케이블·VDSL의 세 가지 서비스에서는 거의 속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유는 ADSL과 케이블·VDSL 세 가지 서비스가 각 공유기에서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속도 범위에 들었기 때문이다.
시뮬레이션에서 각 회선속도(단위:Mbps)
다운로드 업로드
ADSL 7 0.7
케이블 9 0.9
VDSL 13 13
FTTH 100 100
즉 과거와 달리 이번 공유기들이 모두 20Mbps 이상급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이하의 속도를 가진 회선 테스트는 무난히 통과했다는 이야기다. 물론 100M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E-밸리와 같은 FTTH 서비스에서는 그 결과값이 각기 상이했다. FTTH의 가상테스트에서는 100Mbps급 인터넷 공유기라는 이름에 걸맞게 ‘지오 INB3040SR-프리’가 다운로드 속도 95.3Mbps를 기록해 가장 빠른 속도를 보여줬다.
제품명 다운로드(Mbps) 업로드(Mbps)
지오 INB3040SR-프리 95.3 91.5
애니게이트 GW-300A 56.1 51.1
넷기어 RP614 53.5 47.3
링크시스 BEFSX41 33.4 34
네타미 ER-3140 83.8 70.1
스타스테이션 1004N 20.2 18.1
IP타임 프로 52.9 49.4
유니콘 MAX-400K 73.6 69.5
그 뒤로는 네타미의 ‘ER-3140’이 83.8Mbps, 유니콘 ‘MAX-400K’가 73.6Mbps로 약 80Mbps급의 좋은 성능을 보여줬으며, 애니게이트와 넷기어·IP타임 3개의 공유기는 50Mbps급의 속도를 나타냈다. 반면 링크시스 ‘BFESX41’과 새롬 ‘스타스테이션 1004N’은 20Mbps급 속도를 보여줘 E-밸리와 같은 FTTH 서비스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테스트 환경
PC 노트북
운용체계 윈도XP 프로 윈도XP 프로
CPU 펜티엄4 1.6㎓ 펜티엄4 2㎓
HDD 80Gb 40Gb
메인칩세트 845E 845M
메모리 512MB 512MB
테스트 회선
회사 서비스명
한국통신 메가패스 ADSL 프리미엄
두루넷 케이블 인터넷 프리미엄
하나로통신 하나포스 VDSL
하나로통신 E-밸리
※모든 테스트에는 동일한 장비를 사용했고 속도 테스트는 총 5회 실시해 평균값을 기재했다. 모든 공유기는 최신 펌웨어를 사용했고 인터넷 속도 테스트의 경우에는 같은 시간대에 수행했다. 내부 네트워크 테스트는 큐체크 콘솔(Qcheck Console) V2.1을 사용했다.
◇설치용이성
8종의 공유기를 살펴본 결과 설치유틸리티를 제공하는 공유기들과 마법사 기능을 제공하는 공유기, 그리고 수동으로 선택하는 공유기 등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제품명 설치유틸리티 여부 마법사 기능 여부
지오 INB3040SR-프리 제공
애니게이트 GW-300A - 제공
넷기어 RP614 - 제공
링크시스 BEFSX41 제공 -
네타미 ER-3140 - 제공
스타스테이션 1004N 제공 -
IP타임 프로 - -
유니콘 MAX-400K - -
설치유틸리티를 CD로 제공하는 공유기는 스타스테이션과 링크시스 2종이다. CD에서 제공하는 설치유틸리티를 단계별로 따라하면 자동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넷기어의 경우에는 별도의 설치유틸리티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직접 보면서 따라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설치 가이드를 제공해 좀더 쉬운 설치가 가능하다.
반면 펌웨어에서 지원하는 마법사 기능, 즉 펌웨어에서 단계별 혹은 질의응답식의 구성을 거쳐서 인터넷 설정을 끝마칠 수 있도록 하는 제품들은 지오·애니게이트·넷기어·네타미 등 총 4가지 제품이었다. 특히 이 중에서 애니게이트와 넷기어는 강화된 도움말 기능과 한글화, 그리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서 초보자들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링크시스와 스타스테이션은 설치유틸리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마법사 기능은 없었으며, IP타임과 유니콘은 펌웨어 메뉴에서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했다. 설치용이성에 대한 전체적인 결론은 역시 펌웨어의 구성에서 앞서가고 있는 애니게이트와 넷기어 제품에 점수를 줄 수 있다. 적절한 단계별 구성으로 초보자들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배려됐기 때문이다. 한편 과거에 가끔식 볼 수 있던 설치 중에 DHCP 기능에 따른 제품편차는 발견하지 못했다.
◇회선별 인터넷 속도 테스트
총 4가지 회선서비스에서 테스트해봤다.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환경인 PC 2대를 연결한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했고 속도 측정은 벤치비(http://www.benchbee.co.kr)를 이용했다.
먼저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초고속통신서비스인 ADSL에서는 애니게이트와 넷기어, 그리고 링크시스의 3종이 가장 빠른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했다. 하지만 최고 속도와 최저 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은 만큼 그 가치는 미미한 편이다. 그 이유를 나름대로 해석해보면 VDSL 지원 공유기들의 지원속도가 시뮬레이션 테스트 때와 마찬가지로 ADSL 정도는 충분히 소화해낼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통신 ADSL 프리미엄 다운로드(Mbps) 업로드(Kbps)
지오 INB3040SR-프리 6.64 611
애니게이트 GW-300A 6.74 620
넷기어 RP614 6.77 636
링크시스 BEFSX41 6.78 635
네타미 ER-3140 6.66 635
스타스테이션 1004N 6.64 633
IP타임 프로 6.6 617
유니콘 MAX-400K 6.1 575
ADSL 테스트 결과는 과거 몇 개월 전에 실시한 공유기 벤치마크 당시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유기들이 발전된 성능 덕택에 ADSL회선에서 공유기간 성능편차는 작다고 할 수 있으며, ADSL 사용자들에게 공유기 선택이 그만큼 쉬워졌다고 할 수 있겠다.
두루넷 케이블 프리미엄 다운로드(Mbps) 업로드(Kbps)
지오 INB3040SR-프리 4.56 758
애니게이트 GW-300A 5.01 753
넷기어 RP614 5.24 758
링크시스 BEFSX41 5.13 758
네타미 ER-3140 5.19 763
스타스테이션 1004N 5.06 751
IP타임 프로 4.97 752
유니콘 MAX-400K 5.08 765
두루넷 케이블 프리미엄 회선 테스트 결과에서는 넷기어 RP614가 가장 눈에 띄는 속도를 보여줬다. 그러나 이 역시 ADSL에서의 결과값과 마찬가지로 큰 편차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제일 느린 속도를 보여준 지오 INB3040SR-프리는 ADSL회선 테스트 결과에서의 유니콘 MAX-400K와 마찬가지로 모뎀과의 호환성에서 생기는 속도저하로 생각된다.
하나로통신 VDSL 다운로드(Mbps) 업로드(Kbps)
지오 INB3040SR-프리 14.3 13.9
애니게이트 GW-300A 14.4 14.1
넷기어 RP614 14.4 14
링크시스 BEFSX41 14.3 14
네타미 ER-3140 14.2 14
스타스테이션 1004N 14.3 13.9
IP타임 프로 14.3 13.8
유니콘 MAX-400K 14.3 14
하나로통신 VDSL에서 테스트한 결과값을 살펴보면, 8종의 인터넷 공유기가 거의 비슷한 인터넷 속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별히 성능을 가리자면 애니게이트와 넷기어 두 개 제품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고 할 수 있겠다. 결국 8종의 공유기가 20Mbps급 이상의 데이터 속도를 전부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VDSL까지는 8종 공유기의 성능은 엇비슷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하나로통신 E-밸리 다운로드(Mbps) 업로드(Mbps)
지오 INB3040SR-프리 92.4 62.5
애니게이트 GW-300A 55.4 47
넷기어 RP614 51.7 41.1
링크시스 BEFSX41 31.5 33.8
네타미 ER-3140 87.3 58.3
스타스테이션 1004N 19.7 17.2
IP타임 프로 53.2 45.7
유니콘 MAX-400K 71.4 54.1
한편 FTTH로 불리는 하나로통신 E-밸리 서비스에서는 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었다. 상하향 100Mbps급의 속도를 보여주는 E-밸리 서비스에서는 각 사의 제품이 그 명암이 달랐는데 시뮬레이션 테스트의 예상대로 지오 INB3040SR-프리 제품이 평균 92.4Mbps의 놀라운 속도를 보여줬다. 업로드의 경우에는 그것보다 30% 정도 감소된 62.5Mbps를 기록했다. 그 뒤로는 네타미의 ER-3140이 87.3Mbps로 90Mbps급의 인터넷 공유기임을 알 수 있었으며 유니콘 MAX-400K가 그 뒤를 이어 71.4Mbps였다.
애니게이트 GW-300A와 넷기어 RP614, IP타임 프로 등 3종의 공유기는50Mbps급의 성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VDSL는 물론 E-밸리 서비스에서도 어느 정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링크시스 BEFSX41은 30Mbps 정도의, 스타스테이션은 20Mbps급의 성능을 보여 VDSL까지는 소화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스위칭 테스트와 내부 전송속도 테스트
스위칭 기능은 간단히 말해서 일정한 대역폭을 갖고 있는 회선의 속도를 각 PC에서는 이용하는 정도에 따라 빠르게 분배해주는 것으로 의미한다. 결국 각 PC는 스위칭 기능을 이용해 당시 네트워크의 트래픽에서 최대한 얻을 수 있는 속도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스위칭 기능 테스트는 PC와 노트북을 연결한 상태에서 PC에서는 123MB 용량에 해당하는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노트북에서는 벤치비(http://www.benchbee.co.kr)를 이용해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참고로 스위칭 테스트는 하나로통신 VDSL과 E-밸리에서만 진행했음을 밝힌다.
스위칭 속도(단위:Mbps) VDSL 다운 VDSL 업 E-밸리 다운 E-밸리 업
지오 INB3040SR-프리 7.6 7.1 60.9 60.9
애니게이트 GW-300A 7.7 6.4 30.2 19.7
넷기어 RP614 7.4 6.5 24.6 14.9
링크시스 BEFSX41 7.6 6.5 9.85 7.3
네타미 ER-3140 7.3 6.4 42.1 33.4
스타스테이션 1004N 7.1 4.7 11.6 5.2
IP타임 프로 7.8 6.7 31.2 18
유니콘 MAX-400K 7.7 6.3 40.6 30.2
스위칭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평균 14Mbps의 성능을 제공하는 VDSL회선에서 대부분의 공유기가 PC 2대를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50대 50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스타스테이션 1004N은 스위칭 성능이 약간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줬다. 한편 E-밸리 서비스에서는 애니게이트 GW-300A와 넷기어 RP614가 50대 50에 가까운 우수한 스위칭 성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E-밸리 스위칭 기능 테스트에서는 65대 35 정도의 성능을 보여준 지오 INB3040SR-프리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고른 성능을 나타냈다고 판단된다.
내부 전송속도는 공유기에서 제공되는 100Mbps 허브 성능을 검증하는 테스트라고 할 수 있다. 내부 LAN으로 연결된 PC간 파일 전송속도를 측정해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내부 전송속도 테스트에는 과거 파일 전송시간을 직접 재던 방법에서 벗어나 넷IQ사의 큐체크 콘솔 V2.1 이라는 속도 측정 유틸리티를 이용했다. 큐체크는 P2P의 TCP/IP 프로토콜 스택 중 TCP와 UDP를, IPX/SPX 프로토콜 스택 중 IPX와 SPX 프로토콜을 통해 각종 테스트를 해주는 유틸리티다.
내부 전송속도 (단위:Mbps)
지오 INB3040SR-프리 93
애니게이트 GW-300A 92.3
넷기어 RP614 92
링크시스 BEFSX41 93
네타미 ER-3140 91.7
스타스테이션 1004N 92.3
IP타임 프로 93
유니콘 MAX-400K 93
큐체크를 이용한 내부 전송속도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8종의 공유기가 거의 비슷한 수준의 내부 전송속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속도는 약 93Mbps 정도로 100Mbps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호환 테스트
인터넷 속도만큼이나 중요해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총 4가지로 분류해 그 호환성을 검증해봤다. 참고로 테스트 대상이 되는 8종의 공유기는은 앞서 언급한 대로 최신 펌웨어를 탑재한 제품들이다.
먼저 흔히 사용하게 되는 P2P 소프트웨어로는 MP3를 전문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소리바다2와 동영상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구루구루를 테스트했다. 그 결과 소리바다의 경우에는 네타미 ER-3140에서만 약간의 문제를 보였을 뿐 7종의 공유기는 아무 이상없이 검색에서 다운로드까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타미 ER-3140의 경우에는 2대 동시검색은 가능했으나 다운로드가 불가능했는데 이는 이번 벤치마크 제품이 출시 전의 시제품이고 펌웨어가 아직 최적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으로 생각된다.
P2P 소리바다2 구루구루
지오 INB3040SR-프리 YES YES
애니게이트 GW-300A YES YES
넷기어 RP614 YES NO
링크시스 BEFSX41 YES NO
네타미 ER-3140 NO(다운로드불가) YES
스타스테이션 1004N YES YES
IP타임 프로 YES YES
유니콘 MAX-400K YES YES
구루구루에서는 넷기어 RP614와 링크시스 BEFSX41이 불안정하게 작동하는 증상을 보여줬다. 두 제품은 똑같이 1대의 PC에서는 가능했으나 2대 동시사용은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구루구루를 정확히 지원한다고 볼 수 없으며 나머지 6대에서는 무난하게 구루구루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메신저 MSN 버디버디
지오 INB3040SR-프리 YES YES
애니게이트 GW-300A YES YES
넷기어 RP614 YES YES
링크시스 BEFSX41 YES YES
네타미 ER-3140 YES YES
스타스테이션 1004N YES YES
IP타임 프로 YES NO
유니콘 MAX-400K YES YES
인터넷이 연결된 PC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메신저의 경우에는 버디버디와 MSN 등 두 개의 SW를 이용해 2대 동시접속, 메시지·파일전송 등의 작업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MSN의 경우에는 8대 모두 무리없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버디버디에서는 IP타임 프로만이 PC 2대 동시접속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보여줬다.
VoIP 와우콜 다이얼패드
지오 INB3040SR-프리 YES YES
애니게이트 GW-300A YES YES
넷기어 RP614 YES YES
링크시스 BEFSX41 YES YES
네타미 ER-3140 NO NO
스타스테이션 1004N YES YES
IP타임 프로 YES YES
유니콘 MAX-400K YES YES
인터넷 회선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인터넷 전화, 즉 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와우콜과 새롬의 다이얼패드를 들 수 있는데 두 가지 VoIP 서비스에서 8종의 공유기로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직 펌웨어가 최적화되지 않은 상태인 네타미를 제외하고는 모두 여유롭게 통과했다.
게임 스타크래프트 어썰트기어 프로젝트 A3
지오 INB3040SR-프리 NO YES YES
애니게이트 GW-300A YES YES YES
넷기어 RP614 YES YES YES
링크시스 BEFSX41 NO YES YES
네타미 ER-3140 YES YES YES
스타스테이션 1004N YES YES YES
IP타임 프로 YES YES YES
유니콘 MAX-400K YES YES YES
게임부분에서는 분야별로 3개의 게임을 테스트했다. 먼저 스타크래프트 배틀넷에서는 지오와 넷기어·링크시스의 3종에서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3종 모두 동시접속은 가능했으나 동일한 방에 들어가서 동시게임을 즐기는 것은 불가능했다. 나머지 5종의 제품은 동시접속 및 게임에서 아무런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액션슈팅게임에서는 넷마블의 어썰트기어를 이용해 테스트해봤다. 그 결과 8종 제품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동시접속해 동일방 게임이 가능했다. RPG게임에서는 요즘 주가를 올리고 있는 ‘프로젝트 A3’로 테스트를 진행해봤다. 하지만 프로젝트 A3에서도 8종 제품 모두 건재한 호환성을 보여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네타미의 ER-1040을 제외하고는 애플리케이션 지원능력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이뤄진 공유기 벤치마크에서는 MSN조차 지원하지 못한 공유기들이 상당수 있은 것을 생각하면 애플리케이션 지원능력도 많이 개선됐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네타미 ER-3140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대로 펌웨어가 최적화되지 않은 시제품인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많이 본 뉴스
-
1
캐나다·멕시코·中에 보편관세 부과…트럼프, 무역전쟁 개시
-
2
천장 공사없이 시스템에어컨 설치…삼성전자, 인테리어핏 키트 출시
-
3
中 딥시크 사용 제한 확산…미국·대만·일본·이탈리아 등 확대
-
4
“너무 거절했나”... 알박기 실패한 中 할아버지의 후회
-
5
에스오에스랩-동운아나텍, 라이다 협약 체결…'8조 항만 자동화장비 시장' 공략
-
6
화성시, 19.8MW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돌입
-
7
한국형 '딥시크' 키우자...전문가들 “인재양성과 규제완화가 핵심”
-
8
이준석 “'퍼스트 펭귄' 되겠다…대선 있다면 역할”
-
9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
10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