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필리핀 국제전화 중단위기

미국과 필리핀간 국제전화 정산료 분쟁이 격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필리핀간 국제전화 중단사태는 물론 이 불똥이 주변 국가로 튈 가능성마저 높아지고 있다.

 BBC(http://www.bbc.oc.uk)에 따르면 필리핀 국립통신위원회(NTC)는 최근 자국 전화업체들에 대해 AT&T 등 미국의 거대 통신업체들로부터 걸려 오는 국제전화를 받지 말라고 명령했다.

 이는 필리핀 정부 당국의 필리핀 착신 국제전화 정산요금 인상 방침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힌 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같은 승강이로 양국간 국제전화가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앞서 필리핀 정부는 자국 착신 국제전화 요금을 인상한다고 밝혔는데 이의 반발로 FCC측은 AT&T·월드컴 등과 협의를 거쳐 이번 주 초 필리핀 정부의 안을 받아들일 수 없고, 통신업체들에 대해서도 국제전화 정산료를 지불하지 말아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필리핀 정부측이 반발하고 나서 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실제 양국 정부와 통신업계의 감정대립은 상당히 심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NTC의 고위관계자는 “국제전화 단절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갈등이 빚어지자 FCC측은 “국제전화 정산체계를 국가가 파괴한 경우”라며 “국가권력 남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필리핀 정부 측은 “FCC야말로 통신네트워크상에서 보장되는 국가주권을 무시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세계 통신업계에서는 양국간 대립이 직접적인 통화단절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하면서도 만약 통화가 중단될 경우 주변 국가 업체의 통신망을 거친 통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경우 필리핀과 미국간 통화를 희망하는 소비자들이 요금인상으로 인한 직접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전화 요금 정산을 둘러싼 각국간 갈등은 세계 통신업계의 골칫거리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세계 업계에서는 앞으로 이같은 사례가 점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미국과 필리핀 외에도 지난해 말 중국 정부가 자국 착신전화 정산요금을 기존에 비해 무려 10배 가량 인상함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등 세계 각국이 크게 반발한 바 있다.

 관행적으로는 파리 거주자가 런던으로 전화를 걸 경우 이 통화에서 발생하는 정산료 이익은 기본적으로 프랑스 통신업체들이 취하게 돼 있다. 그리고 계약을 통해 영국 통신업체의 망을 점유한 분당 시간을 계산해 영국측에 지급하게 된다. 하지만 각국의 경제적 격차에 따라 통화량이 달라 세계 시장에서 업체 및 국가간 이해와 요구가 상충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허의원기자 ewh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