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마트·용산전자상가 등 집단전자상가가 ‘전대’ 매장문제로 비상이다. 전대는 임차인이 매장을 임대받은 후 이를 직접 운영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재임대하는 것을 말한다. 전대제도는 현행 상가 임대차 관리법에서는 명확한 규정이 없는 상황이지만 임차인과 계약할 때 이를 명시하면 명백한 계약 위반이다.
전대 매장은 건물주로부터 매장을 분양받은 임차인이 이를 재임대해 주기 때문에 임대료의 이중 부담으로 제품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 매장별로 구분된 품목을 지키지 않아 매장간 분쟁의 원인이 되며 ‘물건만 팔면 된다’는 식으로 매장을 운영해 소비자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최근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은행 금리가 곤두박질치면서 재테크의 일환으로 복합상가에 투자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전대 매장도 병행해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 불황으로 매장에 찬바람이 불면서 기존 임대인들이 암암리에 매장을 재임대해 주는 전대를 선호해 이 같은 추세는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테크노마트 등에서는 관리단과 시설주 차원에서 전대 매장을 집중 단속키로 했다.
테크노마트는 최근 전대 매장이 크게 늘고 있다고 판단, 이를 대대적으로 단속할 계획이다. 테크노마트는 그동안 층별로 구분된 상품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고 품질이나 기능이 떨어지는 상품을 고가에 판매하는 등 기본적인 서비스조차 제공하지 않는 전대 매장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왔다.
한영섭 프라임산업 사장은 “전대 매장의 규모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지만 소비자신고센터에 접수된 불만사항을 보면 대부분 전매 매장일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며 “가뜩이나 소비심리 위축으로 매장이 썰렁한 상황에서 테크노마트의 이미지를 크게 훼손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테크노마트는 주기적으로 매장을 단속해 전대 매장을 폐쇄조치하고 원래 임대주에게도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상대적으로 건물주와 임차인의 결속력이 느슨한 용산전자상가도 이미 전대 매장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났다. 선인상가의 경우 잠정 집계한 수치가 80%를 넘어설 정도로 전대 제도가 일반화돼 있다. 나진·터미널·전자랜드·원효 등 다른 상가 역시 전체 매장의 40% 정도가 전대 매장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비중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두타나 밀리오레·아바타 등 일반 복합상가의 경우는 전대 제도가 일반화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확산된 상황이다.
용산에서 전대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전대 매장은 건물주와 계약시에 이를 명시하지 않으면 불법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 이중으로 세를 주는 셈이어서 일반 임대 매장보다 제품가격 폭의 유연성이 부족하고 자기 매장이 아니어서 고객 서비스가 다소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천장 공사없이 시스템에어컨 설치…삼성전자, 인테리어핏 키트 출시
-
2
'챗GPT' vs '딥시크' 영문보고서 AI 추론 능력 비교해보니 '막상막하'
-
3
中 딥시크 사용 제한 확산…미국·대만·일본·이탈리아 등 확대
-
4
캐나다·멕시코·中에 보편관세 부과…트럼프, 무역전쟁 개시
-
5
화성시, 19.8MW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돌입
-
6
한국형 '딥시크' 키우자...전문가들 “인재양성과 규제완화가 핵심”
-
7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
8
관세전쟁에 금융시장 요동…코스피 2.5% 급락
-
9
이재용, 19개 혐의 모두 '무죄'…1심 이어 2심도
-
10
日 삼성월렛 서비스 시작…갤S25 시너지 노린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