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입금할 일이 있어 은행에 갔다가 당혹스러운 일을 당했다.
무통장입금을 위해 창구에 50만원을 냈는데 업무를 처리하던 여직원이 수수료 800원을 내라는 것이었다. 몇 달 전만 해도 수수료가 없던 연계계좌 무통장입금에 지난 8월부터 수수료가 신설된 것이다.때마침 입금할 돈만 가져가 수중에 돈이 없었기에 입금을 하지 않겠다고 하자 이미 처리해서 취소도 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다행히 아는 사람을 만나 수수료를 해결하긴 했지만 하마터면 집까지 돌아가 수수료를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을 뻔했다.
요즘 은행들이 수익개선을 위해 수수료를 신설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서비스 종류가 많고 요금도 제각각이어서 다소 혼란스러운 감도 없지 않다. 물론 수수료 여부를 미리 점검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잘못은 있지만 입금을 처리하기 전에 얼마만큼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미리 알려줬다면 소비자들이 은행 창구를 이용하는 데 더욱 편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특히 수수료가 오르거나 신설되는 경우 고객을 위해 업무처리 전에 미리 알려줘야 하지 않을까.
이경수 경기도 시흥시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
10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