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상품의 수입증가로 국내산업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특별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저가 중국상품의 수입급증으로 인한 국내산업의 피해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재정경제부는 19일 중국에 대해 오는 2013년 12월까지 한시적인 수입제한조치를 취할 수 있는 ‘특별 세이프가드 조치’를 도입하는 내용의 관세법 개정안을 마련, 법제처와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재경부의 특별 세이프가드 도입을 위한 관세법 개정안 마련에 앞서 산업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해 12월 11일 ‘중국에 대한 특별 세이프가드 운영에 관한 규정’을 고시한 바 있다.
정부가 이처럼 중국에 대해 특별 세이프가드 조치를 도입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에 나선 것은 현재 중국 상품의 수입증가로 피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회복을 위해 필요한 정도로 관세율을 높일 수 있는 긴급 관세제도로 대응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일본 등 여러나라가 특별 세이프가드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관세법에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중국이 지난 연말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회원국에 세이프가드 조치를 쉽게 취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도 정부가 대중국 특별 세이프가드 조치를 서둘러 도입키로 한 직접적인 배경이라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특별 세이프가드는 수입증가에 따라 시장교란 현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도 발동할 수 있어 ‘수입증가로 국내산업에 심각한 피해가 생겨야 한다’는 일반 세이프가드에 비해 발동요건이 대폭 완화된 데다 제소신청이 쉽다. 또 제3국이 중국 상품에 대해 세이프가드를 취하면서 해당 상품의 수입이 증가하는 ‘무역전환’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입규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에 대한 특별 세이프가드 조치 도입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 그간 저가를 무기로 대량 수입돼 국내 산업을 교란시켰던 중국상품으로 인한 피해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김종윤기자 jykim@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챗GPT' vs '딥시크' 영문보고서 AI 추론 능력 비교해보니 '막상막하'
-
2
천장 공사없이 시스템에어컨 설치…삼성전자, 인테리어핏 키트 출시
-
3
中 딥시크 사용 제한 확산…미국·대만·일본·이탈리아 등 확대
-
4
캐나다·멕시코·中에 보편관세 부과…트럼프, 무역전쟁 개시
-
5
한국형 '딥시크' 키우자...전문가들 “인재양성과 규제완화가 핵심”
-
6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
7
관세전쟁에 금융시장 요동…코스피 2.5% 급락
-
8
이재용, 19개 혐의 모두 '무죄'…1심 이어 2심도
-
9
e커머스, 1900명 감원 '칼바람'…쿠팡만 1200명 늘어
-
10
현대차, 일본에서 첫 자체 보조금 지원…'인스터' 최대 35만엔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