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산업 재조명](19)메모리산업 당면과제

 우리나라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전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성장을 거듭해왔다.

 우리 반도체산업은 출범 당시부터 현저한 경쟁우위에 있던 미국이나 일본 등 반도체 선진국들의 과점적 세계시장 지배체제 아래서 시장접근을 위해서는 물량 중심의 단기간내 성장을 추구하는 전략구사가 불가피했다. 이 전략은 맞아 떨어졌고 90년 초반 이후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세계 반도체산업사상 유례없는 고속성장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해결해야만 하는 중대 과제를 안고 있기도 하다.

 우리 반도체산업의 구조는 메모리 분야에만 편중된 기형적 구조다. 이는 국내 반도체산업이 시스템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자생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주로 해외시장수요를 겨냥해 의존적으로 발전해온 데 기인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생산량의 대부분은 수출하는 반면 우리 시스템업계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비메모리 제품은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모순을 낳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반도체 주변산업의 취약을 꼽을 수 있다.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재료부문의 국산화율은 50%선에 불과하다. 더욱이 반도체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장비의 국내 공급비율은 96년 15.2%, 97년 16.5%, 98년 21.1%, 99년 12.5%, 2000년 11.7% 등으로 성장은커녕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이 결과 반도체 장비는 지난해 수출 3억3000만달러, 수입 36억1000만달러로 32억8000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일으켜 심각한 무역불균형을 유발하고 있다.

 여기에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들 역시 이제 겨우 기업화 초기단계 수준이다. 때문에 국내 반도체 생산기술 수준은 세계적이나, 설계기술을 비롯한 전반적인 기초기반기술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초과학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는 형편이다.

 기술인력의 배출시스템도 전자·전기·제어계측·물리·화공·기계 등 반도체산업이 필요로 하는 이공계 첨단학과의 대학정원은 대학전체 정원의 10%를 겨우 넘어서는 수준이어서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 자체가 단기간 안에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내 시스템산업의 구조적 취약성도 문제다. 반도체 수요를 창출하는 국내 전자산업구조가 독자설계에 의한 고유모델 생산체제가 아니라 선진국의 기술도입이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방식 기반으로 성장해왔기 때문에 시스템산업과 반도체산업의 상호연계에 의한 자생적인 반도체산업 발전이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우리 반도체산업의 생산구조 또한 소량다품종의 비메모리 반도체 위주의 국내 시스템업계 수요에 대응하는 것보다는 제한된 수의 표준설계에 의존해 대량생산하는 메모리 위주의 생산구조에 편중돼 있다.

 지금까지의 성취를 바탕으로 우리 반도체산업이 21세기를 맞아 제2의 도약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최정훈기자 jhchoi@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