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유전자 1만4000천종 찾았다

 한국인의 위암 및 간암 치료에 이용될 유전자 1만4000종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굴됐다.

 또 게놈정보처리에 필요한 국제적인 수준의 바이오인포메틱스(bioinformatics·생물정보학) 시스템과 초고속염기서열분석기술, 고밀도 DNA칩 제작 및 영상처리기술 등 유전체 연구 관련 인프라까지 구축해 위암·간암의 조기 치료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

 과학기술부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단장 유향숙)은 사업착수 1년 만에 완전한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정보가 담긴 유전자인 전장클론(full-length cDNA) 3982개를 포함, 모두 1만4000종의 기능성 유전자를 발굴하고 고밀도 DNA칩 등을 제작하는 등 유전체 연구와 관련된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7일 밝혔다.

 사업단이 이번에 발굴한 전장클론의 수는 미국 국립암연구소가 지난 99년부터 포유동물유전자의 전장클론수집(MGC:Mammalian Gene Collection)에 착수, 현재 4957개를 확보한 것과 비교해 볼 때 괄목할 만한 성과다.

 특히 이번에 발굴한 전장클론 3982개 가운데 1092개는 아직 전세계적으로 발표된 적이 없는 신규 유전자여서 사업단은 앞으로 기능연구를 통해 물질특허 확보에 나서는 등 선진국과의 유전자 전쟁에 본격 참여할 계획이다.

 사업단은 또 1만개의 유전자를 하나의 DNA칩에 담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 위암(샘플 수 142) 및 간암(160) 환자의 조직에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해 지금까지 670여종의 위암 및 간암관련 후보유전자를 확보했다.

 이와 함께 사업단이 자체개발한 DNA칩 영상분석 소프트웨어는 지난 3월말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열린 제3차 DNA칩 데이터베이스(Microarray Gene Expression Database)회의에서 현존 제품 중 세계 최고수준이라는 평을 받았다.

 또 국내 유전체 연구 발전의 취약점으로 지적돼 오던 바이오인포메틱스 시스템은 국내 처음으로 선진국의 관련 소프트웨어를 도입함으로써 국제수준의 정보분석처리 역량을 갖추게 돼 유전자 검색, DNA칩 영상분석 등 유전자 발굴과 기능 연구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편 사업단은 로보엔드디자인과 공동으로 대량의 프라스미드 DNA의 크기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Bio-MAX AES 2000’의 자체개발에 성공, 국내 바이오·식품·생물학 분야의 연구소에 공급을 추진중이다.

 유향숙 사업단장은 “국내 유전자원·정보·자료 등을 유전체 분야 연구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 국내 유전체 연구의 획기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기존에 발굴한 유전자와 한국인의 단일염기변이(SNP) 정보를 종합해 유전체 기능 연구에 본격 돌입, 이 사업의 최종 목표인 위암 및 간암의 조기진단제와 치료제 개발을 서두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