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투자에 정책자금 지원 불합리 벤처 자금난 부채질

 자금난을 겪고 있는 벤처기업들의 시름이 더해가고 있다.

 5일 벤처업계에 따르면 연구개발(R&D), 신규사업, 해외시장 진출 등을 위해 투자유치 및 정책자금 활용을 모색하고 있는 벤처기업들은 벤처캐피털, 기관투자자의 조건부 투자, 정책자금의 비효율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선인터넷 전문 벤처기업인 A사는 최근 모 기관투자가와 자금유치 협의과정에서 투자 이후 일정기간이 지난 뒤 미리 책정한 수준의 수익을 내지 못할 경우 투자금의 상당부분을 되사주는 이른바 ‘바이백’(buy-back) 옵션을 제시받아 협상전망이 불투명해졌다.

 기존에 상당한 자금을 유치해 기업 운영에는 별 어려움이 없던 이 회사는 이번에 유치하는 자금으로 연구개발과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대부분 사용할 계획이었다. 따라서 이 회사는 추가 투자자가 확정되기 전까지 이미 사업을 진행중인 2개 해외거점의 영업활동에 주력하면서 향후 전략을 구상할 계획이다.

  모 창투사와 투자유치 협상을 벌이고 있는 사이버교육솔루션업체인 B사의 L사장도 최근 고민에 빠져 있다. 창투사측이 투자유치를 위한 조건으로 CEO가 투자금에 대해 연대보증을 서줄 것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10배수 정도의 펀딩 조건을 조율하다 올해로 시기를 미뤄왔던 L사장은 실기(失期)에 대한 아쉬움과 회사의 생존이라는 현실 사이에서 중대한 결정을 앞두고 있다. 

 이런 벤처의 자금난 해소방안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자금 지원 및 보증사업도 갈 길 먼 벤처의 발목을 잡고 있다. 

 정보기술(IT) 솔루션 전문업체 D사는 최근 한 산업관련 협회의 심사와 기술신용보증기금 실사를 거쳐 중기청으로부터 총 5억원대의 신청액 중 3억원의 ‘산업기술개발자금’을 융자받게 됐다. 하지만 D사가 은행창구에서 받을 수 있는 자금은 1억5000만원에 불과했다. 1년 이내 장비구매가 없기 때문에 인건비·예비비 등으로 그 정도만을 우선 배정하겠다는 것이다.

 반면 이 회사가 물어야 하는 이자는 당초 책정된 3억원에 대해 7.5% 이율로 산정돼 분기마다 470만원을 꼬박 납부해야 한다. 따라서 이 회사는 신규장비 구매 등을 위해 급한대로 비싼 이자를 물며 사채시장에 접근해야 했다.

 이같은 현상은 결국 정책자금 신청기업들이 실제 필요자금을 모두 받기 위해 필요액의 두배 이상을 과대 신청하는 사례로 이어져 그 폐해가 우려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대부분 벤처캐피털과 기관투자가의 투자관점이 수익성 위주로 바뀌고 있지만 기술개발자금이 수익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좀 더 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며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사업도 현장의 진행상황과 기업의 체감정도를 면밀히 파악해 유명무실한 지원책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정환기자 victo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