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체계적인 차세대 인터넷 개발

 전세계가 차세대 인터넷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분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인식이나 홍보가 다소 부족하다.

 물론 우리나라는 몇년 전부터 차세대 인터넷 개발에 나섰고, 오는 7월 ‘국제 IPv6 포럼’이 열리는 데 대비해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민간업체들이 기술개발에 고삐를 조이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 국민에게는 차세대 인터넷이 여전히 생소하게 느껴지는 듯한 분위기다.

 이는 차세대 인터넷과 관련한 일부 연구소·기업체 등 한정된 곳에서만 기술개발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특히 정부나 인터넷 관련단체 등이 차세대 인터넷에 대한 홍보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도 주요인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변화의 흐름이 빠른 기술을 일반인들이 제때에 따라잡기 어려운 데에도 원인이 있다.

 물론 차세대 인터넷은 필요한 사람이 개발만 하면 되는 일이지 일반인까지 그것에 대해 속속들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차세대 인터넷은 앞으로 국민이나 산업에 미칠 파장이 엄청나 일부 개발자나 알면 되는 일은 아니다.

 차세대 인터넷은 단순히 현재의 인터넷보다 속도가 빠르고 주소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고속의 인터넷망을 통해 가정의 정보기기와 가전제품, 이동통신기기 등을 연결함으로써 본격적인 원격제어가 가능해 국민의 생활이 획기적으로 바뀔 수 있다.

 또 차세대 인터넷은 거의 모든 산업과 연관되기 때문에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엄청날 수밖에 없다. 특히 인터넷시장이 다소 침체된 상황에서 차세대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 돌파구를 마련하는 좋은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대비도 전국민의 몫일 수밖에 없다.

 이미 미국을 비롯한 유럽, 심지어 초고속 인터넷 분야에서 뒤지고 있는 일본조차도 이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다. 시장을 선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실익 또한 엄청나기 때문이다.

 우리도 이미 정부나 일부 기관·업체 등이 차세대 인터넷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비하고 있지만 그것을 널리 확산시키는 데에는 소홀한 감이 없지 않다.

 이제부터라도 차세대 인터넷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국가 전체가 사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나 유관단체들이 먼저 차세대 인터넷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하고 확보해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차세대 인터넷의 체계적인 개발과 보급도 과제다. 이 분야가 유망하다고 해서 역할분담 없이 사업에 참여한다면 과잉이나 중복투자가 빚어지지 말란 보장이 없다.

 정부는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산·학·관이 개발에서부터 보급에 이르기까지 나름대로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국가 전체가 차세대 인터넷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이와 함께 차세대 인터넷에서 필수적인 망의 고도화, 보안문제, 표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등은 시간을 두고 해결해야 할 사안이기 때문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