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사용이 금지된 프레온가스 대신 개발돼 일반 에어컨 등에 사용되고 있는 HCFC 등 대체물질의 경우 오는 2040년이면 그나마 지구상에서 사용이 전면 금지됩니다. 수소반응을 이용한 비냉매 공조시스템은 그런 의미에서 사용범위가 무한히 확대될 것입니다.』
최근 지르코늄 계열의 수소저장합금인 신물질을 개발해 청정에너지원인 수소로 꿈 같은, 냉매 없는 에어컨을 만드는 데 성공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재영 석좌교수(61·재료공학과)는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수소가 수소저장합금과 결합할 때 발열반응이 일어나 난방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수소저장합금이 수소와 분리될 때 열을 빼앗는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상용화가 가능한 시제품을 개발한 것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가 개발한 지르코늄계열의 수소저장합금은 같은 부피의 기존 고압탱크(120기압)에 수소를 저장하는 것보다 5배 이상 많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압력을 10기압 이하로 자유로이 조절 가능해 큰 열량을 얻을 수 있으며 가벼우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게 특징.
고효율의 수소저장합금으로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수소냉방기의 상용화를 가능케 한 이 교수는 금속재료 상에서 수소의 확산 특징과 결합에너지량을 측정하고 수소 때문에 철이 잘 깨지는가를 구명하는 「수소열분석법」을 확립, 세계 학계에서도 권위를 인정받는 「수소박사」다.
이 교수는 이 연구로 과학자들 사이에서 최고의 영예로 꼽히는 한국공학상을 수상, 최근 대통령으로부터 상을 수여받았다.
『저에게 연구는 취미와도 같은 것입니다. 즐거운 일을 직업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게 행복이지요. 이따금 연구비 문제로 곤혹스러울 때도 있지만 우수한 학생들과 함께 연구에 몰두할 수 있어 다행입니다.』
그는 『좋은 아이디어를 내주고 같이 노력한 젊은 후학들과 함께 기쁨을 나눴다』며 『앞으로 젊은 과학자들에게 무언가 남겨주어야 한다는 책임감이 시간이 갈수록 앞선다』고 말했다.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8년간 과학기술에 종사한 한국과학기술계의 원로급인 이 교수는 지난 98년부터는 KAIST석좌교수로 연구에 몰두하면서 89명의 석사와 38명의 박사를 배출해냈다.
<정창훈기자 chjung@etnews.co.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3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4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5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6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7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9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