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화 국가전략 국제회의>통일IT포럼-디지털민족공동체의 수립

◆노승준 애틀러스리서치그룹 사장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통합에 대한 논의와 기대가 한창인 가운데 한반도에서 「디지털공동체」의 출현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디지털공동체는 한 공동체가 인터넷을 중심동력으로 하여 경제를 포함하는 모든 사회관계가 디지털적 신호처리에 의한 전자적 교류 내지는 거래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태가 상당히 진행된 것을 의미한다.

한반도에서의 디지털공동체 형성에는 북한의 열악한 인프라와 정치·이념적 문제라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최근 희망적인 징후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미시적이고 기술적인 면에서는 북한에만 국한하는 폐쇄적인 인터넷망이 구축되고 거시적이고 정치·이념적인 면에서는 북한에서 디지털지도층의 출현이라는 상황발전 등이 디지털공동체로 가는 약속들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민족공동체란 미래지향성과 과거지향성이 혼재하며 현실적인 도전과 장애가 많은 개념이다.

그러나 디지털민족공동체의 형성은 한민족이 피할 수 없는 과제며 앞으로 우리의 군집적인 삶의 도전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한국의 지도층과 시민들은 어떠한 인식과 행동방안을 가져야 할 것인가.

첫째, 디지털민족공동체라는 불가피하면서도 모순적인 과제에 대한 인식과 지적 합의를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디지털민족공동체의 형성은 궁극적으로 경제·기술적 도전이라기보다 정치·사회적 도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민족공동체 형성의 특정시기에 특정정권이 담당하는 이벤트가 아니라 계속적인 논의와 투자를 요하는 프로세스다.

둘째, 현실적으로 가장 생소하고 어려운 북한에서의 디지털공동체 형성을 도와야 한다.

북한의 지도부는 이제 디지털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고무적인 것은 북한의 지도부가 디지털지도층의 주된 특징들, 즉 「경제이슈가 정치이슈보다 하위를 차지하는 종래의 정치적 현실주의론을 부정하거나 유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반도에서의 디지털민족공동체는 환상이 아니라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의 시점에서 기다리고 있는 현실이라는 사회적 합의와 이를 위한 노력이 도달시기를 결정할 것으로 예측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