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위원장 김정기)가 최근 개최한 홈쇼핑 채널 공청회에서 「대기업 배제론」과 「최소 채널 승인」 문제가 강력히 제기됨에 따라 향후 사업자 선정에 어떤 파장을 몰고올지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날 공청회에 참여한 학계·시민단체·SO·PP 등 각계 대표들은 먼저 핵심 이슈인 「채널 적정 수」와 관련해 『반드시 최소 채널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펴 논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SO의 추가 PP 수용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시청자들도 홈쇼핑 채널 추가 승인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홈쇼핑은 PP가 아닌 유통사업자로서 영상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최소 채널 허용을 주장했다.
그러나 홈쇼핑 시장 진입을 추진하고 있는 사업자들은 『방송위가 홈쇼핑 시장의 과점체제를 개선하고 홈쇼핑 방송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가 승인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최소 채널 승인 움직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한 사업자는 『궁극적으로 홈쇼핑 채널은 시장경쟁체제에 맡기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진입 장벽을 강화하는 조치는 시대흐름에도 맞지 않는다』고 최소 채널 승인을 주장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경계했다.
반면 LG홈쇼핑·39쇼핑 등 기존 사업자들은 대세의 흐름이 최소 채널 승인 쪽으로 기우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당연하다는 반응이다.
39쇼핑의 한 관계자는 『1개 사업자가 추가되는 것은 무리가 없겠지만 2개 이상이 추가될 경우 3년안에 시장에서 퇴출되는 사업자가 반드시 생겨날 것』이라며 상당수 토론자들의 최소 채널 승인 주장을 옹호했다.
찬반논쟁이 벌어진 「대기업 배제론」과 관련해서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중소기업에 사업권을 내준다고 가정하더라도 말그대로 각 컨소시엄간의 이해 조정에 그칠 것이 뻔하고 사업성보다는 명분 쪽으로 흐를 공산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방송계 일각에서는 대기업을 배제하기보다는 중소기업 컨소시엄에 보다 많은 이니셔티브를 주는 방향으로 심사기준을 마련하는 게 더 현명하고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공청회를 마련한 방송위의 고민도 이만저만이 아니게 됐다. 「홈쇼핑 방송 활성화와 소비자 이익 극대화」를 정책목표로 내세우고 있는 방송위로서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이같은 일들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이날 공청회에 참여한 방송계의 한 관계자는 『방송과 유통산업이 결합된 홈쇼핑 사업자 선정은 위성방송 사업자 선정과는 또다른 문제』라며 『방송위가 사업자 논리와 방송산업의 발전을 어떻게 조화시킬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中 반도체 설비 투자, 내년 꺾인다…韓 소부장도 영향권”
-
2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3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4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5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6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7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8
단독롯데, '4조' 강남 노른자 땅 매각하나…신동빈 회장 현장 점검
-
9
상장폐지 회피 차단…한계기업 조기 퇴출
-
10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