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주소 부족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정부와 업계의 미온적인 대처로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국내 도메인 관련기관은 IPv6의 개발보다는 이미 개발된 표준규격에서 IP를 할당받으려는 정책에 머물고 있어 차세대 인터넷의 주도권을 선진 외국에 빼앗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낳고 있다. 관련기사 5면
현재 32비트의 IPv4 인터넷 주소체계로는 최대 43억개의 주소를 제공할 수밖에 없으며 인터넷 이용인구 평균 2, 3개의 IP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을 비춰볼 때 기껏해야 20억명 미만이 한계수치로 예상된다. 이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IPv6는 128비트 주소체계로 10³●에 해당하는 인터넷 주소가 만들어지며 이를 계수화할 경우 전세계 인구 1인당 2억6800만개의 IP를 나눠줄 수 있다.
미국·일본·유럽·중국 등 해외 각국들은 IPv6의 표준을 선점해 세계 인터넷산업을 주도한다는 포석아래 프로토콜부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이르기까지 정부·업계가 공동으로 적극 나서고 있다.
일본은 대학과 연구소 중심으로 WIDE(Widely Integrated Distributed Environment) 프로젝트와 실제 IPv6코드 구현을 위해 업체가 중심이 된 KAME(KarigoME)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KAME 코드는 공개용으로 배포되는 코드 중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중국의 경우 지난 3월 에릭슨과 공동으로 IPv6 기반의 차세대 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과는 별도로 시스코시스템스나 선·컴팩·MS 등의 민간 기업들이 상용제품을 출시했거나 준비중이며 미국 캘리포니아주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적용해 활용중이다.
반면 국내의 경우 연구개발 시작단계로 정보통신부가 지난 2월부터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 중의 하나로 차세대 인터넷과 관련된 IPv4/IPv6 주소 변환기 개발과 고속 라우터 개발을 추진중으로 상용화 단계에 이른 외국기술에 비해 걸음마 수준이다.
한국인터넷정보센터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선 IPv6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지 않았고 IPv4와의 연동도 확실치 않으며 프로젝트도 없는 상태여서 관망하고 있다』며 『IPv6는 인터넷 후발주자인 일본과 유럽국가들이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개발중인 프로젝트여서 앞으로 개발방향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소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또 외국의 네트워크 관련 하드웨어업체들에 비해 국내업체들이 IPv6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아이투소프트 김성일 사장은 『관련 핵심기술들의 개발은 이미 상당부분 완료된 상태로 IPv4가 IPv6로 전환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때문에 더 늦기 전에 정부와 연구소, ISP, 업계, 기관이 역할분담을 해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우기자 kwlee@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2
한덕수 대행도 탄핵… 與 '권한쟁의심판·가처분' 野 “정부·여당 무책임”
-
3
“12분만에 완충” DGIST, 1000번 이상 활용 가능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
4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5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6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7
프랑스 기관사, 달리는 기차서 투신… 탑승객 400명 '크리스마스의 악몽'
-
8
“코로나19, 자연발생 아냐...실험실서 유출”
-
9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10
단통법, 10년만에 폐지…내년 6월부터 시행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