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VoIPnet 2000>인터뷰-정통부 산업정책과 김치동 과장

-VoIP포럼 창립 취지는.

▲우선 통신서비스사업자, 장비 업체 등이 한자리에 모여 인터넷 전화(VoIP)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서로의 정보가 공유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거대 해외 장비 위주로 국내 VoIP 서비스가 진행될 수밖에 없으며 정보를 얻기 힘든 중소기업은 표준화 동향에 뒤처져 표준과 동떨어진 제품을 개발할 우려도 있다.

-정보통신부가 최근 인터넷전화 기술표준안 연구계획을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인터넷 전화에 대한 국내 표준안이 마련되지 않아 통신서비스 사업자나 장비업체들이 각개 약진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정보통신부는 기술표준안 마련을 통해 표준화를 추진하고 차세대 VoIP 표준기술 연구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또 국가적인 차원의 VoIP 서비스 발전 방향도 연구, 효율적인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망 구조연구 및 발전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수시로 국내 장비 및 서비스업체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02년에야 표준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이는데 너무 늦지 않은가.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전화프로토콜은 H.323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다. H.323 표준은 다수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광역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그 대안으로 차세대 표준으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및 메가코(MEGACO) 등이 급부상하고 있다. 연구초점은 SIP와 메가코에 집중되며 이 부문에서는 해외에 뒤처지지 않는 것이 목표다.

-기대 효과는.

▲우선 국내 인터넷 전화서비스 및 장비간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VoIP 관련 기술의 조기 분석·제공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장비업체들이 2003년까지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 56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이며 세계 인터넷 전화시장에서는 5% 점유로 10억달러의 수출증대 효과도 기대된다.

-국산 VoIP 장비가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우선 기간통신사업자들이 국내외 업체 구별없이 투명하고 차별없는 조달절차를 밟아야 한다. 또 서비스 사업자와 장비업체가 수시로 만나 서로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서로 「윈윈」하는 관계가 정립되도록 상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향후 계획은.

▲이달 말쯤 VoIP 포럼 내에 사업협력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여기서 VoIP 표준화 문제뿐 아니라 요금체계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이며 네트워크장비인증센터를 통한 VoIP 장비 인증제도 업계 요구가 있을 경우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