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사이버증권>상반기 1000조 돌파 "빅뱅"

사이버 증권시대가 활짝 열렸다.

사이버 증권거래는 인터넷 확산과 수수료 인하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급기야 올 상반기 온라인을 통한 약정거래규모는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하며 지난해의 684조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사이버 증권거래도 매월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한국증권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6월 온라인을 통한 전체 증권(주식, 선물, 옵션)의 약정금액은 전월대비 41.5% 증가한 221조7437억원을 기록하며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전체 증권시장의 59% 수준으로 온라인 증권거래가 오프라인을 추월해 주도권을 잡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이버 증권계좌수도 전체 위탁계좌활동수의 37%에 이르게 됐다.

사이버 증권거래가 처음 시작된 지난 98년 1월에 전체 거래의 1.3% 수준였던 점을 감안하면 가히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사실 사이버 증권거래 원년에는 사이버트레이딩에 대한 인식과 인프라 부족으로 전체 거래의 4%를 넘지 못했으며 이 추세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하반기 코스닥시장의 붐이 일기 시작하고 증권사들이 사이버트레이딩 시스템을 대폭 확충하면서 사이버 증권거래는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사이버 증권거래는 전체 거래의 40%를 넘어섰고 올 3월에는 처음으로 오프라인 거래량을 넘어섰다.

시장별로는 개인투자자들이 몰려있는 코스닥시장이 거래소시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은 개인투자자들을 중심으로 데이트레이딩이 급증하면서 전체 주식거래중 사이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74.1%를 차지한 반면 기관 및 외국투자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거래소시장은 45% 수준이다.

최근 설립된 사이버 증권사들의 파격적인 수수료 인하도 온라인 시장을 급성장하게 만들었다. E*트레이드증권, 키움닷컴, 겟모어증권 등 사이버 증권사들이 수수료를 0% 수준으로 인하하고 오프라인의 고객들을 유인했다. 위기감을 느낀 기존 증권사들도 뒤따라 수수료를 인하하면서 사이버 증권거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사이버 증권거래의 수수료는 오프라인의 25% 수준. 오프라인에서 한번 주식 거래할 수 있는 수수료로 온라인에서 4번의 거래가 가능한 셈이다. 자연스럽게 투자자들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흡수됐으며 오프라인 거래는 위축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수수료 인하라는 메리트를 등에 업은 신생 사이버 증권사들은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며 세력을 넓히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6월말 기준으로 외국계 증권사 포함한 국내 50여 증권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온라인 증권사인 E*미래에셋증권과 키움닷컴증권이 사이버증권 약정 순위에서 각각 10위권과 20위권으로 진입했다. 지난 2월부터 영업에 들어간 E*미래에셋증권은 월 거래대금이 5조3220억원으로 2.4%의 시장점유율을 차지, 온라인 증권시장에서 10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영업개시 4개월 만에 쟁쟁한 기존 증권사를 제치고 10위권에 진입한 것이다. 키움닷컴증권은 영업개시 2개월 만에 월 2조9180억원의 거래대금으로 시장점유율이 1.3%로 17위를 차지했다. 사이버증권사로는 가장 늦게 지난 6월부터 영업을 시작한 겟모어증권도 거래규모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사이버 증권거래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는 것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개인투자자들이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의 확산이 사이버 증권거래의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지난 6월 사이버 증권거래의 매체중 인터넷을 통한 거래가 전체의 92.6%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확산이 사이버 증권거래를 활성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줬다. 또 최근 무선통신의 발달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식거래가 3.7%로 늘어났고 자동응답전화(ARS) 2.3%, 휴대폰 0.8%, 기타 0.3% 순으로 사이버 주식거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타인의 사이버계좌에 침입한 온라인증권계좌 해킹사건에서 나타나듯 보안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컴퓨터 해킹에 대비해 온라인증권 거래시스템의 보안과 개인의 정보보호를 위한 방화벽 설치 등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증권사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김익종기자 ij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