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의 메카인 대덕연구단지가 벤처 붐을 타고 몸살을 앓고 있다. 연구단지내 연구기관 대표들의 모임인 기관장협의회도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홈페이지를 새로 구축하고 협의회 산하에 전문위원회를 새로 설치하는 등 연구단지의 전반적인 현안을 다룰 조직 재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관장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정선종 전자통신연구원장은 『대덕연구단지가 잘돼야 국가과학기술이 한 단계 발전하게 될 것』이라며 대덕밸리 개발에 중지를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대덕밸리를 평가한다면.
▲대덕연구단지가 지난 73년 설계 당시 일본의 쓰쿠바연구학원도시를 모델로 하면서 인위적으로 첨단연구단지 건설을 구상했던 것은 선진국 못지 않은 비전이라고 평가합니다. 그러나 지방정부와 무관하게 조성된 점, 민간기업 참여가 배제된 점, 전반적으로 기술의 경제성 개념을 고려하지 않았던 점 등은 미흡합니다.
세계적으로 성공을 인정받고 있는 미국의 실리콘밸리나 대만의 신죽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민간기업에 활력이 넘쳐야 대덕밸리 자체가 활기넘칩니다. 글로벌한 산업시장 특성을 가진 지식기반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덕밸리에서도 외국 벤처들이 내국인과 동등한 조건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제반 환경이 정비돼야 합니다. 대덕밸리가 국제 첨단기술 자유구역(인터내셔널 프리 R&D 존)이 돼야 한다고 봅니다.
-대덕연구단지 기관장협의회의 힘을 결집하기 위한 사업이 있다면.
▲연구단지기관장협의회는 정부출연연구소 20개, 민간기업연구소 18개, 정부투자기관 6개, 공공기관 3개, 고등교육기관 3개 등 총 50개 기관의 기관장들로 구성된 협의체입니다. 총회, 운영위원회, 3개의 전문위원회 등이 설치돼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고 발전방향 모색을 위해 정기적인 정책토론회와 간담회를 열고 있습니다.
또 연구기관과 산·학·연 공동연구, 인력·정보 등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져야 다분야, 다기관의 집적단지로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는 데 온힘을 쏟고 있습니다.
-출연연구기관의 창업지원제도에 문제점과 개선점이 있다면.
▲창업지원제도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기관이 수행한 연구결과의 상용화를 촉진해 산업발전 기여와 함께 고용창출 효과를 가져옵니다. 반면 연구원 입장에서는 연구경험이 많은 우수한 기술인력이 유출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그러나 연구기관과 벤처기업의 상호 협력적인 발전은 충분히 성립될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은 상품화로 이룬 혜택을 연구원에 피드백함으로써 개발한 기관과 해당 연구원의 사기를 북돋울 수 있습니다.
-출연연구기관의 연구원 겸직과 휴직제도에 대한 의견은.
▲연구원 겸직은 기술의 산업화라는 장점도 있는 반면 연구업무의 지속성 결여로 연구생산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술이 완성되기 전에 대내외적으로 유출돼 국가 기술경쟁력 강화정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 기업 측면에서는 이중의 과중한 업무로 대내외 사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연구소와 벤처기업이 상호 협력해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기관의 축적된 우수기술을 많은 벤처기업이 이전받아 상품화하는 체계가 활성화돼야 하고 연구와 실험·생산을 겸해 수행하는 산·연 공동연구 수행이 활성화돼야 합니다.
-연구기관의 역할과 연구원의 창업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
▲국책연구기관은 기본적으로 민간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장기 또는 기반연구 등을 국가주도로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실적은 많은 부분 상용화됐고 국가 기술력과 대외 경쟁력 향상에 많은 부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결과와 상용화는 서로 맞물려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가 개발기술의 스핀오프를 통한 연구개발 결과의 상용화입니다.
연구기관과 연구원 창업의 문제는 닭과 달걀의 문제가 아닌 상호 보완의 입장으로 생각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봅니다.
-최근 제기되고 있는 벤처거품론에 대해 한마디.
▲IMF를 빨리 벗어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과 고용창출 효과를 높이려 단기간에 많은 벤처기업을 양산한 바를 부인할 수 없습니다. 벤처 거품론은 벤처답지 않은 벤처가 많다는 말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실정으로 볼 때 하이테크, 하이리스크로 인한 하이리턴 벤처기업의 비율이 높지 않다고 봅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삼성전자 반도체, 연말 성과급 '연봉 12~16%' 책정
-
2
한덕수 대행도 탄핵… 與 '권한쟁의심판·가처분' 野 “정부·여당 무책임”
-
3
“12분만에 완충” DGIST, 1000번 이상 활용 가능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
4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5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6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7
프랑스 기관사, 달리는 기차서 투신… 탑승객 400명 '크리스마스의 악몽'
-
8
“코로나19, 자연발생 아냐...실험실서 유출”
-
9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10
단통법, 10년만에 폐지…내년 6월부터 시행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