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제3시장 업체들의 고충

제3시장 지정업체들의 불만이 예사롭지 않다. 이럴 것이라면 뭐하려고 제3시장을 만들었느냐는 원망어린 목소리다. 『제3시장에 들어와 자금 조성은 커녕 스타일만 구겼다』고 하소연 하는 업체들도 많다.

제3시장의 위기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최근 지정업체 100개 돌파를 즈음해 제3시장 지정업체들의 위기감이 조직화돼 표출되고 있다.

제3시장 지정업체들은 도대체 제3시장이 벤처기업들의 자금조달 창구라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곳인지에 대해 강한 의문을 갖고 있다. 또 시장참여업체가 100여개에 가깝게 늘고 있는데 비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방안과 의지가 관계기관들에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대로 가다간 제3시장에 지정됐다는 경력이 오히려 코스닥 등록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도 표출되고 있다.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는 소외감의 표출인지 최근에는 제3시장 활성화를 위해 제3시장 업체들이 펀드를 조성해 거래를 활성화시키자는 의견이 공론화되고 있다.

거래량을 확대시키기 위해 일부 선두권업체들이 직접적으로 시장에 개입한다는 방안이다. 또 그 동안 제3시장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양도소득세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이달 중 헌법소원을 제기할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코스닥 등록 가능일을 미리 고지, 투자자들의 시선을 끄는 방안도 제기되는 등 시장을 본궤도에 올리기 위한 묘안이 다각도로 제기되고 있다.

자칫 내부자 거래 위험까지도 유발시킬 수 있는 제3시장 펀드 조성문제와 헌법소원문제라는 고육책까지 구상하고 있는 일부 제3시장지정업체들의 움직임이 예사롭지만은 않다. 또 코스닥 등록 가능 시기의 고지문제도 법과 제도의 틀 안에서 면밀히 고려돼야 하기 때문에 당장에 실현 가능성 있는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법과 제도의 미비라는 틀에서 발생한 문제를 풀기 위해 이런 벼랑끝 전술까지 동원하는 제3시장 지정업체들의 생존전략이 안스러워 보인다.

<디지털경제부·이규태기자 kt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