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벤처기업 협력 미진하다

벤처기업의 요람으로 기대를 모았던 각 대학 창업보육센터가 학교측과 입주기업 사이에 원활한 수평적 협력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7일 창업보육센터 및 입주 벤처기업에 따르면 교수·실험실·연구원 등 대학의 연구개발(R &D) 인프라와 새로 창업하는 벤처기업의 아이템, 자본을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자는 취지로 설립된 대학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들이 당초 기대와 달리 대학의 인프라 이용에 상당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 상당수 대학 창업보육센터들은 단순히 벤처기업들에 비즈니스 공간 제공 외에 창업지원과 관련한 활동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 연세대 보육센터에 입주했다가 최근 자진퇴거한 한 벤처기업의 관계자는 『각종 인프라 이용에 기대를 걸고 입주했으나 관리비나 공간문제 등 민간 사무실과 차이가 없어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여기에 대학교수들이 직접 실험실 창업 대열에 뛰어들면서 산·학 공조의 여지가 줄어들고 있다. 실제로 최근 교수창업 벤처가 입주업체 심사에 주류로 떠오르고 있으며 일부 교수들은 프로젝트 연구개발이라는 명목으로 강의시간까지 조정해가며 대학원 조교 등 연구인력을 자의적으로 활용하는 폐해까지 나타나고 있다.

보육센터 설립과 운영을 지원하는 관련 정부기관들의 주도권 다툼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책부처가 중기청·정통부·산자부·과기부 등으로 다원화되고 경쟁이 붙으면서 다른 창업보육센터와 차별성을 지나치게 강조, 정작 보육센터 입주를 원하는 벤처기업들이 심사대상에서 배제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입주업체의 질적 수준이 각 보육센터마다 상이한 것도 문제다. 일부 센터의 경우 시제품 및 서비스 개발단계의 업체들로 대상기업을 선정하는 반면, 단순히 창업 아이템만을 갖거나 부동산 관련업체 등 벤처기업과 무관한 업체가 겉모양만 인터넷기업을 가장해 입주한 경우도 적지 않다.

보육센터 입주 벤처기업 관계자들은 『대학의 창업보육센터가 벤처창업의 요람으로 자리잡으려면 설비·재정·인력뿐만 아니라 대학·보육센터·입주기업의 협력체제 구축이 절실하다』며 『특히 최적의 인력 풀(Pool)을 제공하기 위해 입주단계부터 관련 교수와 연구개발 등에 대해 구체적 협력내용과 계획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서울대 이준식 교수는 『교수들의 실험실 창업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윤리규정 제정을 추진중이며 이를 통해 대학의 연구개발력을 입주업체와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통신창업지원센터 관계자는 『각 보육센터 매니저들 사이에 입주업체와 관련한 공동 DB를 구축,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중배기자 j blee@etnews.co.kr, 이정환기자 victo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