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위기의 SI산업

정보통신산업을 이끌어가는 기본축인 시스템통합(SI)산업의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SI산업은 대표적인 부실산업으로 지목받을 만큼 부실 투성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니 예삿일이 아니다. 일반 산업분야의 기업은 물론 정부와 지자체·금융·의료분야에 이르는 정보화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가진 SI산업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국가경쟁력 제고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SI산업은 산업 자체만 놓고 볼 때 기업과 국가의 정보화가 추진되면서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성장산업이다. 지난해 국내 시장규모가 6조8000억원으로 추산되고 오는 2003년까지 매년 27%가 넘는 성장률이 예상될 만큼 성장성이 높다. 2003년에 시장규모는 무려 20조원으로 가장 각광받는 산업이 되리라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생산이나 관리에서 최적의 지식관리시스템을 갖추려는 기업수요와 국가정보체계의 통합관리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는 정부, 효율적인 관리체계 구축으로 경쟁력을 높이려는 지자체의 투자가 잇따르고 금융이나 의료분야의 시스템통합 관리수요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이미 SI산업은 21세기 초 가장 주목해야 할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SI산업은 이처럼 각광받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덤핑과 부실이 판쳐 수익성이 없는 산업이라는 꼬리를 달고 있다. 과열경쟁과 덤핑수주가 남발되면서 외형에 비해 수익을 올리는 업체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은 저가수주에 따른 부실공사로 이어져 상당한 비용을 들인 시스템이 당초 기대했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시스템간의 통합 및 호환 불능이라는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업체들은 업체대로 내실을 다지지 못해 내부 인력양성이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발전을 끌어내지 못해 답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국내 SI시장의 확대에 따라 국내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외국업체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현재 상태라면 20조원까지 늘어날 SI시장을 외국업체들에 내줄 수밖에 없는 것은 물론 부실한 내수기반으로 인해 해외시장 공략의 꿈도 접어야 할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해 있다.

SI산업의 이런 문제는 일차로 업계 스스로가 부실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고 그런 면에서 반성해야 할 부분이 많다. 그러나 최대 수요처인 공공부문 입찰체계가 고질적인 과열경쟁과 출혈입찰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특히 부실시스템 공급을 유도하고 업체들의 재무구조를 악화시켜 SI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문의 최저가 입찰방식은 개선돼야 할 사항이라고 하겠다.

이제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문에서는 구축하려는 SI시스템이 국가나 지자체 발전의 기반이 된다는 것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이 산업이 탄탄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계약방식을 바꾸고 건설기본법처럼 SI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제도적인 체계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각종 시스템 입찰에서 가격보다 시스템의 기능과 활용성, 장기적인 운용에 대한 적합성 등을 선정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