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需要계획 설명회" 의미

 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소프트엑스포 99」 행사의 하나로 마련한 「정부 및 공공부문 정보화 수요계획 설명회」가 6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소프트웨어업계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속에 열렸다.

 이번 설명회는 공공부문의 소프트웨어 구매와 업무 전산화 관련 내년 예산 및 사업내용에 대한 정보를 관련업계에 제공함으로써 업계의 생산계획 수립과 내수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수요예보 성격을 갖는 것이다.

 이같은 수요예보적 행사가 갖는 의미는 대부분 영세 중소기업으로 공공부문 의존도가 높은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업계의 수요창출과 시장확대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소프트웨어업계의 현실은 97년 기준으로 전체 사업자 2053개사 가운데 종업원수 30인 이하 업체가 84.4%를 차지할 정도로 영세한 중소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자본금 규모에서도 1억원 이하 업체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국내 소프트웨어업체들은 기술과 아이디어가 있더라도 영업·마케팅 능력과 인력이 부족해 정확한 시장정보의 수집을 통한 시장창출 및 확대의 기회를 잡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행사에 쏠린 업계의 관심은 바로 이같은 사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앞으로 이같은 행사의 제도적 정착이 필요하다는 데 업계 관계자들은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정보통신부도 업계의 이런 사정을 반영해 앞으로 수요예보제를 제도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이와 관련, 정통부는 우선 현재 의원입법중인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에 소프트웨어 수요예보제 조항을 담아 이 제도를 정착시킬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현재는 법적 근거가 없어 수요예보를 위한 조사에 관련 기관들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은 점이 많이 있지만 법적 근거를 마련하면 정부와 공공부문, 공공성격의 대기업 등이 의무적으로 수요조사에 응해야 하기 때문에 조사 대상의 범위가 확대되고 그 내용의 신뢰도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통계조차 제대로 된 것이 없는 현 실정에서 소프트웨어 업계가 정확한 수요예측아래 사업계획을 수립, 신제품 개발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는 점이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번 설명회를 주관한 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류종호 진흥부 과장은 이와 관련, 『이번 조사에서도 일부 정부 부처나 공공기관으로부터 업무 협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애를 먹었다』며 『앞으로 수요예보제가 법적, 제도적으로 정착되면 업계의 수요창출 확대를 통한 자립기반 확보와 경영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최근 정보화 마인드가 확산돼 그나마 조사 대상기관들이 수요조사에 응하는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결과 여전히 이러저런 사정을 들어 조사를 기피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올해의 경우 소프트웨어산업협회는 당초 1200개 정도의 기관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려 했으나 실제 조사에 응한 기관은 750개로 63% 정도에 그쳤다.

 그나마 조사응답 기관이 97년 47개에서 98년 171개, 지난해 412개, 올해 750개로 급속히 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로 평가되고 있으나 앞으로 수요예보제의 법적 근거가 마련돼 제도화된다면 조사기관의 대폭 증가는 물론 정확한 통계에 기반한 소프트웨어산업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세관기자 skoh@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