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창간17주년> CALS.. "정보화로 공생" 정부가 앞장

 『국내 제조업에 내재된 고비용 저효율 구조, 노동·자본집약적 구조는 결과적으로 국가적인 기술·가격경쟁력을 후퇴시키고 있다. 미국과 비교할 때 업종 평균 생산성지수는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대기업-중소기업-하청업체 사이의 기존 수직적 협력관계를 유지해서는 더이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관련업체들 사이의 광범위한 협업만이 앞으로 살 길이다.』

 『산업활동의 효율성과 경제 전반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업 내부는 물론 기업간 정보교류와 공유가 필수적이다.』

 기업간 전자거래(CALS)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나오고 있다. 「디지털경제」 「글로벌무한경쟁」으로 표현되는 미래의 경제환경에서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살아남기 힘들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확산과 이를 통한 지식기반 공유작업이 결국 단일기업과 산업계 전반, 나아가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국가 CALS체계 구축작업은 일단 정부가 불을 지폈다. 지난해 말 제12차 경제대책조정회의에서 「지식기반 산업발전대책」에 CALS 추진계획이 언급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사이버코리아21」의 중점과제로 포함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최근 정보통신부·산업자원부·건설교통부·국방부·조달청 등 유관부처와 학계·업계·연구기관들로 「CALS 시범사업 추진위원회」를 구성, 업종별 CALS의 조기 도입을 적극 추진중이다. 특히 전자·자동차·건설·국방 분야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배정된 가운데 올해부터 오는 2002년까지 단계적인 시범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일단 이달부터 내년 8월까지 1년동안은 1차 시범사업을 통해 업종별 CALS 환경 구현을 위한 기반조성 작업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전자분야는 이달부터 내년 8월까지 1년동안 국내 가전 4사와 400여 협력업체들이 공동 참여하는 조달부문의 전자문서교환(EDI)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전자입찰과 공개구매서비스, 공동부품 표준화와 데이터베이스(DB) 구축도 이 기간 안에 완료하기로 했다. 자동차산업의 경우 역시 같은 기간 안에 업계 공동의 표준 정보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부품 조달 부문에 우선적으로 EDI를 도입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자동차 3사와 10여개 협력업체가 주체로 참여한다. 건설산업도 지방국토관리청과 국도유지사무소, 대형건설업체, 시공업체, 감리업체를 대상으로 건설 「계약자 통합기술정보서비스(CITIS)체계」를 같은 기간 안에 구축하기로 했다. 건설 CITIS는 시공에서 감리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각종 정보자원의 공유시스템이다.

 국방의 경우 조달부문의 CALS 환경 구축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1년의 시범사업을 통해 국방부 조달본부와 9개 정부수요기관, 10여개 방위산업체를 대상으로 「국방 GITIS체계」를 갖추는 한편, 입찰업무의 전산화를 위한 「전자입찰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4개 업종의 1차 시범사업 계획이 구체화되는 대로 곧바로 착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올해 정보화지원사업비 78억원을 책정, 4개 업종에 대해 20억원 안팎의 시범사업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업종별로 전자의 경우 한국CALS/EC협회, 자동차는 한국자동차공업협회, 건설은 한국건설CALS협회, 국방 분야는 국방부 조달본부를 운영기관으로 선정, 사업주체와 성과·책임을 명확히 하기로 했다.

 4개 중점 추진분야 외에 철강·섬유·조선·중공업·에너지 등 기타 주요 업종에 대해서는 이달 안에 공모 등을 통해 5개 업종을 선정하고 분야별로 1억원씩 책정, CALS 추진전략 수립을 지원하기로 했다.

 업계는 일단 이같은 정부 주도의 CALS 구축사업을 반기면서도 성공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는 시각이다. 해외의 사례를 볼 때도 CALS는 업계 전반의 효율성·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기전략이지 단기간에 승부를 볼 수 있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보화를 통한 공생」이라는 대전제 아래 업무표준화 등에 관한 업계 전반의 합의도출 과정이 성공적인 CALS 구축의 관건』이라면서 『시범사업도 개별 프로젝트마냥 전산센터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정도로 접근해서는 예산낭비만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