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 프리PC

 최근 국내외에서 PC를 무료로 나눠주는 이른바 「프리(Free)PC」 마케팅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프리PC」는 PC통신서비스에 가입해 일정 기간 사용료를 내면 PC는 물론 인터넷 접속·전자메일 등 모든 서비스를 공짜로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 믿기지 않는 얘기다.

 몇 백만원씩 하는 PC가격에 부담을 갖는 개인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프리PC」에 큰 매력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최신형 PC도 갖고 싶고 인터넷도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꿈같은 얘기가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인터넷 접속을 하지 않고 단지 PC만을 사용해도 큰 이득이 된다.

 이같은 공짜PC는 PC제조업체 입장에서 보더라도 파격적인 공급조건을 제시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업체 이미지를 확실히 심어주는 효과를 노릴 수 있고, 이동전화기처럼 PC를 무료로 나눠주고 인터넷 쇼핑 수수료나 광고료 등에서 적지잖은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미 미국에서는 지난 2월 초 캘리포니아주의 벤처기업 「프리PC사」가 이같은 판매마케팅을 시작해 상당한 호응을 얻으면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당시 프리PC사가 컴퓨터 무료제공의 구상을 발표하자 2시간만에 2500명의 신청자가 이 회사의 홈페이지에 몰려들었다고 한다.

 전세계적으로 이동전화기나 삐삐, 케이블TV는 일찍부터 하드웨어를 무료로 주고 구입계약과 사용료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구조가 정착돼 왔다. 그러나 공짜PC가 창출해 내는 비즈니스는 통화요금에 의존하는 이동전화기 등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거대하다. 하드웨어가 아닌 서비스로 수익을 올리는 이같은 전략은 향후 컴퓨터산업의 구조마저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인지 최근 국내 PC업계에서도 「프리PC」 마케팅 도입붐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국내 PC제조업체들이 이전의 「장기할부판매」를 단지 「프리PC」라는 이름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는 비난이 높다. PC통신 서비스요금을 제외하면 사용자는 3년간 150만∼200만원이 넘는 금액을 할부로 지불해야 하고, PC통신의 정보도 전부 공짜가 아니기 때문이다. 「프리PC」 마케팅의 도입에 앞서 그 개념부터 제대로 정리해야 할 성싶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