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추진 "코리아벤처펀드" 기대반 우려반

 중소기업청이 벤처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그동안 적극 추진해온 대형 공공벤처캐피털인 「코리아벤처펀드(KVF)」 설립작업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중소기업 창업 및 진흥기금 500억원에 외자 500억원을 합쳐 1000억원 규모의 KVF 설립을 추진해온 중기청은 지난 2월부터 외국 투자사를 대상으로 펀드 참여의사를 타진, 이 중 9곳으로부터 출자의사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중기청은 이와 함께 이들 외국 투자사로부터 6월 초에 투자의향서를 받아 7월 중 선정위원회를 통해 후보 펀드매니저를 선정하고 7월 말 추진기관인 중진공과 출자계약을 체결, 이르면 8월 초부터 본격 투자사업에 착수한다는 후속 일정까지 발표했다.

 우여곡절 속에 국내 최초의 「투자조합의 투자조합(Fund of fund)」이자 가장 성공한 벤처캐피털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이스라엘의 「요즈마펀드」를 연상케 하는 본격 공공벤처캐피털, KVF의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난 셈. 이에 따라 KVF의 출범이 침체된 국내 벤처투자조합 결성과 벤처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 97년 이후 중단된 외국인들의 벤처투자 및 민간 벤처투자조합 참여가 재개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벤처캐피털 전문가 중 상당수는 중기청이 이번 KVF 결성 재원의 절반을 외국 자본으로 결정한 것이 외자유치라는 대의명분에는 공감하지만 앞으로 KVF를 운영하는 데는 적지 않은 문제를 일으킬 것이란 우려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외국 투자사의 목표수익률이 예상보다 높아 KVF 설립의 근본취지인 초기 벤처기업 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고수익과 조기 투자회수에 길들여진 외국 투자가들이 일정한 투자리스크를 감안, 목표수익률을 40% 이상 높게 잡고 조기 투자회수에 초점을 둘 경우 초기 벤처기업보다는 주식공개(IPO)를 앞둔 중견 벤처기업에 투자가 집중될 수 있다는 얘기다.

 펀드운용 방법적인 면에서도 외국 투자가들과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펀드의 펀드」인 KVF의 특성을 살리려면 국내 창투사를 통한 간접투자 방식을 선호할 것이 분명하고 외국 투자가들은 굳이 국내 창투사를 끼지 않는 직접투자를 선호할 것이 뻔하기 때문.

 전문가들은 『KVF의 출범이 벤처기업 및 캐피털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은 분명하지만 투자재원의 50%를 외국에 의존, 설립취지가 퇴색할 우려가 없지 않다』며 『외자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 KVF의 기능과 설립목적을 잃지 않는 선에서 외국 투자가들의 이해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