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3사의 세계 전자레인지 시장 점유율이 올해를 기점으로 50%를 넘어설 전망이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LG전자·대우전자 등 가전3사는 올해 해외생산분을 포함해 총 1550만대의 전자레인지를 해외시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을 마련, 수출물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가전3사가 지난해 해외시장에 공급했던 1400만대보다 150만대가 늘어난 것으로 총 3000만대 규모인 세계 시장의 51.6%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가전3사의 세계 전자레인지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5% 정도였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는 특히 올해는 전년대비 20% 늘어난 총 650만대 가량의 전자레인지를 해외시장에 공급, 일본의 샤프를 제치고 세계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지난해 새롭게 구축한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고 초소형 전자레인지(just a cup)와 휴대형 전자레인지 및 상업용 전자레인지 등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공급지역도 북미지역 중심에서 동남아 및 중남미·유럽지역 등으로 다양화하기로 했다.
LG전자는 지난해보다 10%가량 늘어난 500만대의 전자레인지를 수출한다는 계획 아래 그동안 확보해 놓은 높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주력시장인 미국의 대형 유통점 등 OEM 공급을 위한 신규거래선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한 고급형 전자레인지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미국 등지의 고급시장도 개척하고 중국 등 신시장에는 현지생산법인을 통해 적극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대우전자도 최근 빅딜파문으로 해외시장에서 가격경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지난해보다 20만대 가량 늘어난 총 400만대를 수출한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이처럼 국내 가전업체들이 올해 세계시장에 대한 전자레인지 공급물량을 늘려잡고 있는 것은 주력시장인 미국이 최대의 호경기를 구가하고 있는데다 동남아 및 CIS·중남미 등 그동안 침체됐던 해외시장들이 최근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5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6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EU 보복관세 계획엔 “그들만 다칠 뿐”
-
7
기아, 첫 전기 세단 'EV4' 디자인 공개…내달 출격
-
8
'아무나 하는 게 아니었네'…신생 배터리 기업들 美 투자 줄줄이 취소
-
9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
-
10
천안시, 총 인구수 70만 달성 코앞…작년 7000여명 증가 5년 만에 최대 유입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