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5년 국회에 상정돼 폐기-재상정-논의유보 등 파란 많은 개정작업을 진행해 왔던 방송법이 올 들어서도 방송가 최대의 이슈로 부상중.
최근 방송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계부처는 물론이고 정치권, 정부, 방송계, 재야단체 모두 이에 대한 물밑작업 및 여론몰이에 나설 태세를 갖추고 있어 방송법을 둘러싼 또 한차례 힘싸움이 전개될 전망.
이달 들어서만도 여의도클럽이 12일 공개토론회의 첫 테이프를 끊은데 이어 18일에는 방송개혁국민회의가, 20일경에는 새정치국민회의가 각각 공청회를 개최한다는 소식.
방송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 방송법 개정논의는 정치권과 정부, 업계, 사회단체 모두 방송법 개정과 맞물려 주도권 싸움을 전개한다는 사실이 이색적』이라며 『이번 방송법 개정결과가 방송계 「세력판도」를 명확히 보여주게 될 것』이라고 전망.
<조시룡 기자>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데이터 시대의 전략적 선택, 엣지 AI
-
2
[ET시론] 2025년을 준비하는 로봇 산업
-
3
[ET대학포럼] 〈202〉저성장 한국 제조업, 홍익인간에서 길을 찾다
-
4
[ET톡] 경계해야 할 중국 반도체 장비 자립
-
5
[사설]국회 '반도체 특별법' 논의 속도 내야
-
6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1〉CES 2025가 보여 줄 'AI 비즈니스 혁신' 3가지
-
7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5〉일자리 문제는 시간 싸움
-
8
[GEF 스타트업 이야기] 〈54〉한 없이 절망 했고, 한 없이 기뻤다
-
9
[인사] 신한카드
-
10
[사설] 트럼프 2기 산업 대비책 힘 모아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