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인터넷시대 세계를 향한 경영 (103)

<웹에서의 국가 위치 (2)>

많은 국가에서 인터넷이 갖고 있는 경제 발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연구소나 무역관련,혹은 정부가 후원하는 웹 사이트들이 해외 투자와 관광을 유치하기 위해 정보 자원을 대폭 확충하고 있다.

은행, 보험사, 부동산 중개업자, 소매점 등 지역 경제를 대상으로 서비스와 제품을 주로 다루는 사이트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정부의 관심은 해외에 국가 경제를 소개하는 단계에서 웹에 기반한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단계로 옮겨 간다.

이 단계에서는 상당수의 기업과 개인사용자들이 월드와이드웹 서버를 구축하고 전자상거래에 참여하기 시작한다.

많은 나라에서 보여주고 있는 이같은 월드와이드엡 애플리케이션의 발전 패턴은 일정 시점에서 한 나라가 처해있는 인터넷 발전 단계를 분석하고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얼마나 빨리 받아 들일 수 있는지를 짐작케 하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인터넷의 양적인 보급 현황과 정보자원의 질을 결합해서 생각하면 전세계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발전 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일차적인 지표가 나온다.

먼저 특정 국가의 발전 국면을 알아보기 위한 첫 단계로 국가별 인터넷 보급 정도를 측정하는 객관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인터넷 접속 정도의 양적 측정 방법에서는 95년 5월 1일을 기준으로 인터넷에 접속된 네트워크 수와 94년 7월부터 95년 7월까지 인터넷에 등록된 호스트 숫자의 증가율을 주로 사용한다.

인터넷 통계치를 비교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미 국립과학재단(NSF)이 조사한 전세계 인터넷 접속 네트워크 수를 보면 전체 5만7백66개의 네트워크 가운데 56%인 2만8천4백70개가 미국 것이었으며 나머지 44%인 2만2천2백96개가 다른 나라에 분산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94년 7월현재 전세계 3백31만2천개였던 인터넷 호스트 컴퓨터 수는 이듬해 1백% 성장한 6백64만2천개로 늘어났다.

두번째 단계로는 국가별 공공 웹 서버의 수와 형태및 내용을 분석해서 인터넷 상용서비스의 발전 단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웹 자원이 대학과 연구소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면 그 나라는 아직도 1단계 발전국면에 있으며 정책 문제나 투자 기회와 같이 정부에서 후원한 웹 사이트가 주류를 이루면 인터넷 발전의 2단계 국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지역 고객들에게 상품과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상업적 웹 서버가 많다면 그 나라는 전자상거래 국면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어느 국가건 간에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에 참여하기에 충분한 공급자와 수요자를 확보하려면 이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