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반도체업계, 256MD램 생산 서두른다

세계반도체경기의 계속적인 침체로 일본의 대형 반도체업체들이 16MD램을감산하는 한편 차차세대 D램인 2백56MD램에 대한 설비투자를 잇따라 서두르고 있다.

「日本經濟新聞」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도시바는 1천5백억엔을 투입해 오이타縣에 2백56MD램 공장을 신설한다고 지난 25일 발표했다.

도시바는 새 공장의 착공시기를 98년으로 계획하고 있는데, 본격 가동시기는 2백56MD램 시장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게 될 오는 2000년이 될 전망이다.

새 공장에는 회로선폭 0.25미크론급 최첨단 미세가공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생산능력은 직경 8인치 웨이퍼 월 3만장 규모이다.

도시바는 이미 이번 오이타縣 새 공장 건설 이외에도 이와테縣과 미에縣에회로선폭 0.25미크론 미세가공기술을 채용한 D램 생산라인을 건설중에 있다.

이들 공장은 64MD램 생산용 라인으로 건설되고 있으나 기술적인 면에서 언제든지 2백56MD램 생산라인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반도체분야에서 일본 최대업체인 NEC도 NEC규슈에 1천억엔을 투입, 2백56MD램 생산라인용 건물을 이미 완공했다. NEC는 이 공장의 생산라인 구축시기를 98년 하반기로 잡고 있는데 이 공장도 기술적으로는 7, 8개월 후 가동이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히타치제작소의 경우는 미국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와 공동으로 美 텍사스州 댈러스에 건설중인 공장에 64MD램과 2백56MD램 동시 생산이 가능한 라인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반도체업계에서는 실리콘 사이클이 하락하는 시기에 적극적인 투자를추진하는 기업이 차기 호황기의 선두주자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다. 필요한시기에 첨단제품의 공급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시장에서 낙오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공장을 세우는 데 16MD램 및 64MD램 세대의 경우는 1천억엔이 소요되지만 2백56MD램 세대는 1천5백억엔 이상이 든다. 이 때문에 IBM-도시바,TI-히타치 등과 같은 제휴로 투자위험부담을 줄이려는 추세도 2백56MD램 세대를 맞아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심규호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