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소장 장세탁)는 연구소 정책사업의 하나로 약 1년간의 연구 끝에 니오디뮴 자석을 사용한 고출력 브러시리스 DC서보모터를 개발, 관련업계에 기술이전을 추진중이라고 18일 밝혔다.
고출력 브러시리스 DC모터는 일본에서도 불과 2∼3년전부터 본격적으로 상품화되고 있는 첨단부품으로 향후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20/30/50/1백W 등 4종류로 보일러·에어컨 등 가전제품을 비롯해 복사기·프린터·자동화기기·자동차용 등에 다양하게 응용할수 있다.
이들 제품은 입력전압이 AC 2백V, 정격속도 3백∼3천 RPM으로 정속도 및가변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 자기회로를 정밀설계하고 고출력 니오디뮴 자석을 국산화해 채용함으로써 효율을 대폭 높인점이 특징이라고 연구소측은 밝혔다.
그동안 브러시리스 DC모터는 VCR·캠코더·HDD·CD롬 등 A/V 및 사무기기용으로 10W 미만의 초소형 모터만이 개발돼 사용돼 왔으며 고출력 제품은 거의 국산화가 되지않았다.
전자부품연구소는 이 브러시리스 DC모터 개발기술을 승우양행·성신·LG전자부품 등에 기술이전,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창호 기자>
많이 본 뉴스
-
1
단통법 22일 폐지에…'자급제 활성화' 논의 부활
-
2
'배당성향 35%↑“, 금융지주 밸류업 전략 강화한다
-
3
단독토스뱅크, 인터넷은행 최초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리대출' 취급
-
4
LG 생기원, 첨단 반도체 패키징 장비 만든다
-
5
트럼프, 韓에 관세 서한 ... 8월1일부터 25% 상호관세 부과
-
6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4.6조원 '털썩'…재고충당·대중 제재 영향
-
7
기아, 전기 SUV 'EV5' 디자인 공개...준중형급 정통 SUV 바디타입 적용
-
8
위약금 족쇄 풀리자 SKT 1만명 이탈…보조금 100만원까지 치솟아
-
9
이재명 표 '부스트업' 온다…밸류업 정책 대대적 손질
-
10
네이버 치지직, 세계 최대 e스포츠 대회 독점 중계…SOOP 역전하나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