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소개 5] 드림정보시스템 족보정보 "뿌리를 찾아서"

드림정보시스템의 족보정보 「뿌리를 찾아서」가 통신매니아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다.

무엇이든지 새로운 것을 찾아 헤매는 신세대들에게 족보정보는 칼라시대에색다른 경험을 가질 수 있는 흑백정보다.

특히 젊은 세대들이 친적들의 촌수를 모르는 이가 80%가 넘는다는 최근 통계가 나와 사회적 충격을 안겨줬던 때여서 족보정보는 이들에게 가족의 뿌리를 찾는데 좋은 정보로 여겨지고 있다.

뿌리를 찾아서는 우리나라에 존재하고 있는 3천3백여 개의 본관중 인구 1만명 이상으로 구성된 족보정보는 크게 3개 항목으로 구분돼 있다. 각 성씨의 시조 및 본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나의 뿌리는」, 족보에 대한 일반상식을 설명하는 「일반상식」, PC통신 사용자와 종친회가 함께 할 수 있는 「정보안내」 사용자와 종치회가 함께 할 수 있는 「정보안내」등이다.

나의 뿌리는 각 성씨의 유래, 시조 및 본관의 유래, 가문을 빛낸 선조, 항렬, 집성촌, 유적지, 인구분포, 시조부터 계승되어 내려온 흐름을 알 수 있는 계보도 등이 수록됐다.

일반상식은 족보에 대하여,성씨에 대하여, 가까운 친척의 호칭방법, 친척들간의 촌수 계산하는 방법, 이름에 대한 상식, 제사에 대한 상식, 외국의족보에 대하여 등 7개 항목으로 분류됐다.

족보에 대하여는 성씨의 의의와 각 성씨에 대한 전설, 고구려 백제 신라고려시대의 성씨발생과 변천, 우리나라 성씨 총람, 성씨별 인구현황 등이 상세히 정리됐다.

또 가까운 친척의 호칭방법과 친척들간의 촌수계산하는 방법에서는 자기로부터 11촌까지의 친척에 대한 촌수를 계산하고 무엇이라고 부르는 가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름에 대한 상식에서는 이름과 항렬의 관계, 이름과 운세의 관계, 이름과 음양오행설의 관계, 이름짓는 방법, 이름자 획수에 따른 운세 등이 설명됐다.

제사에 대한 상식에서는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제사의 종류, 제사 지내는방법,제사상 차리는 방법 등 제사와 관련된 용어를 수록됐다.

뿌리를 찾아서를 이용하려면 천리안 매직콜에 들어가서 GO ROOT로 들어가거나 13번 교육/가정메뉴에서 1번 생활/가정에 들어가 29번을 치면 정보를이용할 수 있다.

<양봉영 기자>

브랜드 뉴스룸